디지털 카메라 정보를 다루는 사이트로 1999년 출범했으며 2000년대 초반 디지털 카메라 사진을 올리는 용도로 사용되던 게시판인 디시인사이드 갤러리가 큰 인기를 얻게 되자 커뮤니티 서비스로 방향을 선회, 2000년대 후반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며 최대 규모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로 거듭나게 되었다.
2. 펨코 - 79백만
2008년 10월에 오픈한 대한민국의 인터넷 커뮤니티. 본래는 시뮬레이션 게임인 풋볼매니저의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였으나 유머갤 등 게임과 상관없는 여러 게시판이 생기고 유입 인원이 늘어났다. 이름을 줄여서 펨코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다.
3. 인벤 - 61백만
대한민국의 주요 게임웹진이자 커뮤니티. 주식회사 인벤커뮤니케이션즈에서 운영하고 있다. 2021년 12월 기준, 대한민국 인터넷 커뮤니티 접속자수 3위, 전체 19위 규모의 사이트이다.
4. 뽐뿌 - 53백만 2005년 11월 16일 오픈한 대한민국의 커뮤니티 사이트 쇼핑몰 정보 공유 사이트로 시작하여, 스마트폰대중화 이후부터 이동통신기기 거래 관련 최대의 커뮤니티가 되었지만, 휴대폰 구매관련 게시판이 단통법으로 인해 완전히 비활성화되었고, 이후 정치 관련 글이 주가 되는 친문, 친노 성향의 정치 커뮤니티로 변질되었다. 물론 아직도, 스마트폰 관련 정보나 쇼핑 정보 및 각종 재테크 관련 글들이 올라오나, 문재인정부를 옹호 및 찬양하는 정치 관련 성향의 글들이 항상 메인글을 다수 장식하고 있다. 쉽게 표현하자면 클리앙이 초기엔 IT성향의 커뮤니티였지만 지금은 정치색이 강해져서 IT와 극좌성향의 정치물이 복합된 커뮤니티의 성격을 띄듯이, 뽐부도 쇼핑커뮤니티+강한 진보성향을 띄는 커뮤니티로 볼 수 있다.
5. 루리웹 - 51백만
한국의 비디오 게임전문 사이트 및 커뮤니티. 2021년 12월 기준, 대한민국 인터넷 커뮤니티 접속자수 4위, 전체 18위 규모의 사이트이며, 디시 계통이 아닌 종합커뮤니티 중 가장 규모가 큰 사이트이다.
이름의 유래는 공식적으로는 운영자가 하이텔에서 활동했을때 하이텔ID를 ONNURI(온누리)로 하려고 했으나 오타가 발생하여 ONRULI라는 애매모호한 단어로 ID가 등록되었고, 나름대로 애착이 생겨 RULI로 변경하여 이 ID를 바탕으로 RULIWEB(루리웹)이라고 명명했음을 주장하고 있으나, 네티즌 사이에서는 실질적으로기동전함 나데시코의호시노 루리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지고 있다.
6. 더쿠 - 41백만
theqoo는 원래 2003년부터 운영되었던 국내 최대 일본음악 & 연예 커뮤니티인멀티레모니아라는 사이트였다. 디스코그라피, 영상방 게시판 등 정리가 굉장히 잘 되어있었다.
그런데 2010년 초 멀티레모니아의 총운영자이자 초대 운영자인 레모니아가 입대 소식을 알리고 다른 운영자 3명 내지는 4명이 사이트 운영을 맡게 되었는데, 제이팝의 몰락으로 인해 점차 세간의 관심이 떨어졌고 그에 따라 멀티레모니아의 회원수도 감소, 거기에 바뀐 운영진이 내세운 특정 가수 금지, 열람 조건, 레벨제 등 까다로워진 규칙과 게시글 쓸 땐 성의 있게 몇 줄 이상씩 쓰라며 공지사항에도 없는 걸로 훈수 두는 유저들까지 많아져서 사이트가 쇠퇴의 길을 걷는다.
7. 일베 - 29백만
대한민국의 커뮤니티 사이트이다.디시인사이드 갤러리의일간 베스트 게시물을 모아 저장할 목적으로 개설되었다가, 2011년 디시인사이드에서 독립하여 설립된 극우파 성향의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각종 일탈성 범죄나 소수자 혐오 등의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여 많은 비판을 받는 커뮤니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