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내년 에너지관리산업기사 필기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아래와 같이 문제 출제유형이 제일 많은 요점정리입니다.
휴대폰으로 화장실이나 출근길에 그냥 보시면 저절로 외워지시니까 걱정하지마시고 시험 준비하였으면 좋겠습니다.
다들 화이팅!!!!!!!!
<에너지관리산업기사 필기>
● 다음 중 모리엘 선도를 이용할 때 가장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것은?
※엔탈피 변화 계산
● 수소 1kg을 완전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이론산소량은 약 몇 Nm3인가?
※ 5.6
● 다음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사바테사이클의 압력상승비가 1인 상태가 디젤사이클이다.
● 정압비열 5KJ/kg.k의 기체 10kg을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20도에서 30도까지 가열하기 위해 필요한 열량은?
※ 500
● 비중이 0.8인 액체의 압력이 2kg/cm2일 때, 액체의 양정은?
※ 25
● 보일러에서 댐퍼의 설치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연료 공급량을 조절한다.
● 오일의 점도가 높아도 비교적 무화가 잘 되고 버너의 방식이 외부혼합형과 내부혼합형이 있는것은?
※ 고압기류식 버너
● 공기 40kg에 포함된 질소의 질량은 얼마인가?
※ 31
● 포화액의 온도를 그대로 두고 압력을 높이면 어떤 상태가 되는가?
※ 압축액
● C(87%), H(12%), S(1%)의 조성을 가진 중유 1kg을 연소시키는 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몇 Nm3/kg인가?
※ 11.0
● 건도를 x라고 할 때 건포화증기일 경우 x의 값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 x=1
● 랭킨사이클에서 열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보일러의 온도를 높이고, 응축기의 압력을 낮게 한다.
● 가스분석방법으로 세라믹식 O2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측정가스 중에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 다음 중 전기식 제어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고온 다습한 주위환경에 사용하기 용이하다.
● 다음 중 1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질량 1kg의 물체에 가속도 1m/s2이 작용하여 생기게 하는 힘이다.
● 증기보일러의 용량표시 방법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격용량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상당증발량
● 탄성식 압력계가 아닌것은?
※ 환상천평식 압력계
● 다음 오차의 분류 중에서 측정자의 부주의로 생기는 오차는?
※ 과실오차
● 다음 중 고체연료의 열량측정을 위한 원소분석 성분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휘발분
● 연소실 열발생률의 단위는 어느 것인가?
※ kcal/m3h
● 연료 온도 = 유량계 전
● 급수 온도 = 보일러 입구
● 배기가스 온도 = 전열면 출구
● 연료 사용량 = 체적식 유량계
● 보일러에서 사용하는 압력계의 최고 눈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보일러 최고사용압력의 3배 이하로 하되 1.5배보다 작아서는 안된다.
● 유량계의 종류 중 차압식이 아닌 것은?
※ 로터미터
● 보일러의 열정산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측정 시간은 최소 30분으로 한다.
● 한 시간 동안 연도로 배기되는 가스량이 300kg, 배기가스 온도 240도씨, 가스의 평균비열이 0.32kcal/kg도씨 이고 외기 온도가 -10도씨 일 때, 배기가스에 의한 손실열량은 약 몇 kcal/h 인가?
※ 24000
● 다음 중 차압식 유량계의 종류로 압력손실이 가장 적은 유량측정 방식은?
※ 벤튜리관
● 부르동관 압력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얇은 금속이나 고무 등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한다.
● 다음 중 보일러 열정산을 하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연료의 성분을 알 수 있다.
● 물의 삼중점에 해당되는 온도는?
※ 0.01
● Nm3의 혼합가스를 6NM3의 공기로 연소시킨다면 공기비는 얼마인가?
※ 1.3
● 액체연료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인화,역화 등 화재의 위험성이 없다.
● 액체연소장치의 무화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기체의 비중
● 회분이 연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연소실의 온도를 높인다.
● 폴리트로픽 지수가 무한대인 변화는?
※ 정적(등적)변화
● 비중이 0.8인 액체의 압력이 2 kg/m2 일 때, 액체의 양정은?
※ 25
● 15도의 물 1kg을 100도의 포화수로 변화시킬 때 엔트로피 변화량은?
※ 1.1
● 랭킨사이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 보일러의 가열 온도를 높인다.
● 파형의 다수 강판을 조합한 것 = 스크러버형
● 급격한 방향 전환을 이용한 것 = 베플형
● 원심분리기를 사용한 것 = 사이클론형
● 금속망판을 이용한 것 = 건조스크린형
● 보일러 매연의 발생 원인으로 틀린 것은?
※ 연료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된 경우
● 공기 40kg에 포함된 질소의 질량은 얼마인가?
※ 31
● 증기의 건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과열증기의 건도는 0보다 작다.
● 중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비중은 약 0.79~0.85 이다.
● 압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경우 절대압력은 대기압과 게이지압력의 합이다.
● 배기가스 중 산소농도를 검출하여 적정 공연비를 제어하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 O2 Trimming 제어
● 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유입량이 증가됨에 따라 수위가 상승하여 평형을 이루지 못하는 요소는?
※ 적분요소
● 보일러 열정산에서 출열 항목에 속하는 것은?
※ 미연분에 의한 손실열
●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박판을 사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휘어지는 정도를 이용한 온도계는?
※ 바이메탈 온도계
● 열전대의 종류 중 환원성이 강하지만 산화의 분위기에는 약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IC열전대라고 부르는 것은?
※ 철 - 콘스탄탄
● 도전성 유체에 자장을 형성시켜 기진력 측정에 의해 유량을 측정하는 것은?
※ 전자 유량계
● 계측기기의 구비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유집보수가 어렵고 신뢰도가 높아야 한다.
● 프로세스제어계 내에 시간지연이 크거나 외란이 심한 경우에 사용하는 제어는?
※ 케스케이드제어
● 열전대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호관 중 내식성,내열성,기계적 강도가 크고 황을 함유한 산화염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 내열강관
● SI 유도단위 상태량이 아닌 것은?
※ 전류
● 원거리 지시 및 기록이 가능하여 1대의 계기로 여러 개소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백효과를 이용한 온도계는?
※ 열전대 온도계
● 노 앞과 연돌하부에 송풍기를 두어 노 내압을 대기압보다 약간 낮게 조절한 통풍방식은?
※ 평형통풍
● 기체연료의 연소 형태로서 가장 옳은 것은?
※ 확산연소
● 연돌의 통풍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연돌의 벽에서 배기가스의 열방사가 많은 편이 통풍력이 크다.
● 엔트로피의 변화가 없는 상태변화는?
※ 가역 단열 변화
● 온도측정과 연관된 열역학의 기본법칙으로서 열적평형과 관련된 법칙은?
※ 열역학의 제 0법칙
● 오토사이클에서 압축비가 7 일 때 열효율은?
※ 0.54
● 폴리트로픽 지수가 무한대인 변화는?
※ 정적(동적)변화
● 다음 중 기체 연료의 장점이 아닌 것은?
※저장이 용이하고 설비비가 저가이다.
● 공기 40kg에 포함된 질소의 질량은 얼마인가?
※ 31
● 가스연료 연소 시 발생하는 현상 중 옐로우 팁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불꽃의 색상이 적황색으로 1차공기가 부족한 경우 발생하는 불꽃의 모양
● 증기의 압력이 높아졌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증발잠열이 증대한다.
● 증발잠열이 0 kcal/kg 이고, 액체와 기체의 구별이 없어지는 지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임계점
● 탄소 72.0%, 수소 5.3%, 황 0.4%, 산소 8.9%, 질소 1.5%, 수분 0.9%, 회분 11.0%의 조성을 갖는 석탄의 고위 발열량은?
※ 7266 kcal/kg
● 27도에서 12L의 체적을 갖는 이상기체가 일정압력에서 127도까지 온도가 상승하였을 때 체적은 약 얼마인가?
※ 16L
● 물 20kg을 포화증기로 만들려고 한다. 전열효율이 80%일 때, 필요한 공급 열량은?
※ 67000
● 다음 중 사용온도가 가장 높은 경우에 적합한 보호관으로 급냉,급열에 약한것은?
※ 자기관
● 다음 중 사용온도가 가장 높은 경우에 적합한 보호관으로 급냉,급열에 견디는것은?
※ 석영관
● 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유입량이 증가됨에 따라 수위가 상승하여 평형을 이루지 못하는 요소는?
※ 적분요소
● 보일러 자동제어의 수위제어방식 3요소식에서 검출하지 않는 것은?
※ 노내압
● 금속이나 반도체의 온도변화로 전기저항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전기저항 온도계의 종류가 아닌 것은?
※ 베크만 온도계
● 열전대온도계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옳은 것은?
※전기저항과 열전도율은 작고 열기전력은 커야 한다.
● 계통오차로서 계측기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오차는?
※ 기차
● 보일러 열정산 시 보일러 최종 출구에서 측정하는 값은?
※ 배기가스온도
● 다음 중 O2계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 적외선식
● 다음 온도계 중 가장 높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 PR열전대 온도계
● 차압식 유량계로서 교축기구 전.후에 탭을 설치하는 것은?
※ 오리피스
● 잔류편차가 있는 제어는?
※ P 제어
● 2차 지연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차 지연 요소 2개를 직렬로 연결한 것으로 1차 지연 요소보다 응답속도가 더 늦어진다.
● 보일러의 열손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연료 중의 수소나 수분에 의한 손실
● 서로 다른 금속의 열팽창계수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 바이메탈 온도계
● 증기 어큐뮬레이터를 설치할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
※ 증기 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 강관 이음쇠 중 같은 직경의 관을 직선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 캡
● 다음 중 관류식 보일러에 해당되는 것은?
※ 슐처 보일러
● 보일러에서 보염장치를 설치하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연소가스 체류 시간을 짧게 해 준다.
● 찬물이 한곳으로 인입되면 보일러가 국부적으로 냉각되어 부동팽창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는?
※ 급수 내관
● 캐리오버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 급격한 부하변동을 준다.
● 평로법과 비교하여 LD전로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평로법보다 고철의 배합량이 많다.
● 영국에서 개발된 최초의 관류보일러로 수십 개의 수관을 병렬로 배치시킨 고압용 대용량 보일러는?
※ 벤슨
● 증기트랩을 설치할 경우 나타나는 장점이 아닌 것은?
※ 관 내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 강제순환식 수관보일러의 강제순환 시 각 수관 내의 유속을 일정하게 설계한 보일러는?
※ 라몽드 보일러
● 증기난방 배관용으로 쓰이는 증기트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방열기나 증기관 속에 생긴 응축수를 환수관으로 배출한다.
● 증기배관에서 감압밸브 설치 시 주의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감압밸브 1차측의 관 축소시 동심레듀서를 설치하여야 한다.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검사대상기기관리자의 선임을 하여야 하는 자는?
※ 검사대상기기설치자
● 시로코형 송풍기를 사용하는 보일러에서 출구압력이 42mmAq, 효율 65%, 풍량이 850m3/min일 때 송풍기 축동력은?
※ 12.2 PS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검사대상기기의 계속사용검사신청서는 검사유효기간 만료 며칠전까지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 10일
● 안전밸브의 증기누설이나 작동불능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밸브 구경이 사용압력에 비해 클때
● 용광로에 장입하는 코크스의 역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SIO2,P의 환원
● 보일러 청관제 중 슬러지 조정제가 아닌 것은?
※ 수산화나트륨
● 증기보일러 압력계와 연결되는 증기관을 황동관 또는 동관으로 하는 경우 안지름은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 6.5mm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검사대상기기 설치자는 검사대상기기조종자가 해임되거나 퇴직하는 경우 다른 검사대상기기 조종자를 언제 선임해야 하는가?
※ 해임 또는 퇴직 이전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계획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에너지 소비형 산업구조로의 전환
● 보일러를 휴지상태로 보존할 때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채워두는 가스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질소가스
● 증기보일러의 압력계 부착 시 강관을 사용할 때 압력계와 연결된 증기관 안지름의 크기는 얼마이어야 하는가?
※ 12.7mm 이상
● 보일러의 보존법 중 이상적인 건조보존법으로 보일러내의 공기와 물을 전부 배출하고 특정 가스를 봉입해 두는 방법이 있다. 이때 사용되는 가스는?
※ 질소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검사대상기기관리자에 대한 교육기간은 얼마인가?
※ 1일
●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 사용시설이 아닌 것은?
※ 경유 등을 사용하는 가정
● 보일러 내부부식 중의 하나인 가성취화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반드시 수면 위쪽에서 발생한다.
● 복사 난방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열용량이 크므로 외기온도가 급변할 경우 방열량 조절이 쉽다.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에너지저장의무 부과대상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원자력사업자
● 고온의 응축수 흡입 시 흡인력증가를 위해 보조로 사용하며 일반적인 펌프보다 효율은 떨어지나, 취급이 용이한 펌프의 종류는?
※ 제트펌프
● 다음 중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는?
※ 에너지 저장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 보일러의 외부부식의 원인이 아닌 것은?
※ 강재 속에 함유된 유황분이나 인분이 온도상승과 더불어 산화되거나 또는 이외의 원인으로 녹이 생긴 경우
● 증기 사용 중 유의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과잉공기를 많게 하여 완전연소가 되도록 한다.
● 중유를 A급,B급,C급의 3종류로 나뉠 때, 이것을 분류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 점도에 따라 분류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등록이 취소된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은 등록 취소일로부터 몇 년이 경과해야 다시 등록을 할 수 있는가?
※ 2년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서 에너지사용계획을 제출하여야 하는 민간사업주관자가 설치하려는 시설로 옳은 것은?
※ 연간 5천 티오이 이상의 연료 및 열을 사용하는 시설
● 압축성 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실제기체가 이상기체에 대한 거동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나타낸다.
● 수소 1kg을 완전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이론산소량은 약 몇 Nm3인가?
※ 5.6
● 액체연소장치의 무화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기체의 비중
● 공기 과잉계수(공기비)를 옳게 나타낸 것은?
※ 실제연소 공기량 / 이론공기량
● 과잉공기량이 많을 경우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 불완전연소를 일으키기 쉽다.
● 다음 중 건식 집진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벤튜리 스크레버
● 액체 및 고체연료와 비교한 기체연료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저장이 용이하며, 취급에 주의를 요하지 않는다.
● 다음 중 열량의 단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PS
● 자연통풍에 있어서 연도 가스의 온도가 높아졌을 경우 통풍력은?
※ 증가한다.
● 공기표준 브레이튼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냉동사이클의 일종이다.
● 중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비중은 약 0.79~0.85이다.
● 연료비가 증가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 연소속도 증가
● 보일러의 통풍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공기예열기,댐퍼,버너 등에서 연소가스와의 마찰저항
● 열역학의 기본법칙으로 일종의 에너지보존법칙과 관련된 것은?
※ 열역학 제1법칙
● LPG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상온.상압에서 액체로 존재한다.
● 물체의 탄성 변위량을 이용한 압력계가 아닌 것은?
※ 경사관식 압력계
● 보일러의 노내압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급수량 조작
● 다음 중 유량의 단위로 옳은 것은?
※m3/s
● 다음 중 열량의 계량단위가 아닌 것은?
※ kg
● 측정 대상과 ㄱ같은 종류이며 크기 조정이 가능한 기준량을 준비하여 기준량을 측정량에 평행시켜 계측기의 지시가 0위치를 나타낼 때의 기준량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정밀도가 좋은 이러한 측정 방법은 무엇인가?
※ 영위법
● 측정기로 여러 번 측정할 때 측정한 값의 흩어짐이 작으면, 즉 우연오차가 작다면 이 측정기는 어떠한가?
※ 정밀도가 높다.
● 연소실 열발생률의 단위는 어느 것인가?
※ kcal/m3h
● 보일러 열정산 시 보일러 최종 출구에서 측정하는 값은?
※ 배기가스온도
● 다음 온도계 중 가장 높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 PR열전대 온도계
● 아르키메데스의 부력의 원리를 이용한 액면 측정방식은?
※ 편위식
● SI 유도단위 상태량이 아닌 것은?
※ 전류
● 보일러 용량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보일러 본체 전열면적당 단위시간에 발생하는 증발량을 증발률이라 한다.
● 보일러 연소특성으로 어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다음 동작이 중지되는 인터록의 종류가 아닌것은?
※ 온오프 인터록
● 물의 삼중점에 해당되는 온도 = ※ 0.01
● 조업방법에 따라 분류할 때 다음 중 등요(오름가마)는 어디에 속하는가?
※ 반연속식요
● 배관에 사용되는 보온재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 열전도율이 가능한 한 커야 한다.
● 주철관의 공구 중 소켓 접합시 용해된 납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은?
※ 클립
● 노통보일러에서 노통이 열응력에 의해서 신축이 일어나므로 노통의 신축 작용에 대처하기 위해 설치하는 이음방법은?
※ 아담스 조인트
● 감압밸브를 작동방법에 따라 분류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솔레노이드식
● 증기트랩 중 고압증기의 관말트랩이나 유닛, 히터 등에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상향식과 하향식이 있는 트랩은?
※ 버킷 트랩
● 다음 중 연관식 보일러에 해당되는 것은?
※ 케와니 보일러
● 용해로, 소둔로, 소성로, 균열로의 분류방식은?
※ 사용목적
● 큐폴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I합금이나 가단주철 및 칠드롤 같은 대형주물제조에 사용된다.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서 검사의 종류 중 계속사용검사에 해당하는 것은?
※안전검사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검사를 받아야하는 검사대상기기 검사의 종류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자체검사
● 관의 지름을 바꿀 때 주로 사용되는 관 부속품은?
※ 리듀셔
● 액체연료 연소장치 중 고압기류식 버너의 선단부에 혼합실을 설치하고 공기, 기름 등을 혼합시킨 후 노즐에서 분사하여 무화하는 방식은?
※ 내부 혼합식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설치된 보일러의 섹션을 증감하여 용량을 변경한 경우 받아야 하는 검사는?
※ 개조검사
● 연도나 매연 속에 복사광선을 통과시켜 광도변화에 따른 매연농도가 지시 기록된다. 이 농도계의 명칭은?
※ 광전관식 매연농도계
● 특정 열사용기자재의 시공업을 하려는 자는 어느 법에 따라 시공업 등록을 해야 하는가?
※ 건설산업기본법
● 과열기가 설치된 보일러에서 안전밸브의 설치기준에 대해 맞게 설명된 것은?
※ 관류보일러는 과열기 출구에 최대증발량에 해당하는 안전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 노통이나 화실 등과 같이 외압을 받는 원통 또는 구체의 부분이 과열이나 좌굴에 의해 외압에 견디지 못하고 내부로 들어가는 현상은?
※ 압궤
● 다음 보일러 운전 중 압력초과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연료공급을 다량으로 했을 때
● 연도 내에서 가스폭발이 일어나는 원인으로 가장 옳은 것은?
※연도 중의 미연소가스를 완전히 배출하지 않고 점화하였다.
● 에너지법상 지역에너지계획은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이 지역에너지 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대책에 관한 사항
● 수격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사항이 아닌 것은?
※증기관의 보온을 하지 말고 냉각을 잘 시킬 것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검사대상기기설치자는 검사대상기기로 인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한국에너지공단에 통보하여야 한다. 그 통보를 하여야 하는 사고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가스 누출사고
● 보일러의 장기 보존 시 만수보존법에 사용되는 약품은?
※ 가성소다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에 따라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가 효율관리기자재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 받아야 하는 시험 기관은 누가 지정하는가?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급수 중에 용존산소가 보일러에 주는 가장 큰 영향은?
※강판,강관을 부식시킨다.
● 보일러 산세관 시 사용하는 부식 억제제의 구비조건으로 틀린것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작을 것
● 보일러 수처리에서 이온교환체와 관계가 있는 것은?
※천연산 제오라이트
● 증기 사용 중 유의사항에 해당되지 않는것은?
※과잉공기를 많게 하여 완전연소가 되도록 한다.
● 보일러를 옥내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보일러실에서는 환기구를 가능한 한 낮게 설치하여 가스가 누설되었을 때 체류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 보일러 분출작업시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저수위 이하로 분출한다.
● 기체가 가역 단열 팽창할 때와 가역 등 온팽창할 때 내부에너지의 감소량은?
※ 단열팽창 때가 크다.
● 기체연료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저장하기 쉽다.
● 기체연료의 연소에는 층류확산연소, 난류확산연소 및 예혼합연소가 있다. 이 중 가장 고부하 연소가 가능한 연소방식은?
※ 예혼합연소
● 보일러 연소안전 장치에서 화염의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화염 유무를 검출하는 플레임아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가스화염은 방사선이 적으므로 자외선 광전관을 사용한다.
● 연돌입구의 온도가 200도, 출구온도가 30도일 때 배출가스의 평균온도는 약 몇 도 인가?
※ 90도
● 다음 연소장치 중 연소부하율이 가장 높은 것은?
※ 가스터빈
● 보일러의 부속장치 중 원심력을 이용한 집진장치는?
※사이클론식 집진장치
● 오토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저속 디젤기관에 주로 적용된다.
● 보일러 연소가스 폭발의 가장 큰 원인은?
※ 연소실 내에 미연가스가 차 있을 때
● 프로판 1Sm3을 이론공기량으로 완전 연소시 건연소가스량은?
※ 21.81Sm3
● 다음 중 건도가 0 일 때의 상태로 적합한 것은?
※ 포화액체
● 연돌의 통풍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연돌의 벽에서 배기가스의 열방사가 많은 편이 통풍력이 크다.
● 고열원 227도, 저열원 17도의 온도범위에서 작동하는 카르노 사이클의 열효율은?
※ 42%
● 온도측정과 연관된 열역학의 기본법칙으로서 열적평형과 관련된 법칙은?
※ 열역학의 제 0법칙
● 연료의 원소분석법 중 탄소의 분석법은?
※ 리비히법
● 다음 중 1기압 상온상테에서 이상기체로 취급하기에 가장 부적당한 것은?
※ H2O
● 액체연료 공급 라인에 설치하는 여과기의 설치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여과기의 청소를 위해 여과기 2개를 직렬로 설치한다.
● 보일러 열정산에서 입열 항목에 해당하는 것은?
※ 연소용 공기의 열량
● 다음 중 전기식 제어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고온 다습한 주위환경에 사용하기 용이하다.
● 배가스 중 산소농도를 검출하여 적정 공연비를 제어하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 O2 Trimming 제어
● 보일러 열정산 시 측정할 필요가 없는 것은?
※ 과열기의 전열면적
● 다음 중 열량의 계량단위가 아닌 것은?
※ kg
● 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표준편차는 측정값에서 평균값을 더한 값의 제곱의 산술평균의 제곱근이다.
● 도너츠형의 측정실이 있고, 온도변화가 적고 부식성 가스나 습기가 적은 곳에 주로 사용되며 접압기체 및 배기가스의 압력측정에 적합한 압력계는?
※ 환상천평식 압력계
● 공기식으로 전송하는 계장용 압력계의 공기압 신호압력 범위는?
※ 20~100
● 보일러의 열효율 향상 대책이 아닌 것은?
※ 피열물을 가열한 후 불연소시킨다.
● 운전 조건에 따른 보일러 효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전부하 운전에 비하여 부분부하 운전 시 효율이 좋다.
● 시간지연이 크거나 외란이 심한 경우에 사용하는 제어 = ※ 케스케이드제어
● 보일러 자동제어인 연소제어에서 조작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전열량
● 다음 액면계의 종류 중 보일러 드럼의 수위 경보용에 주로 사용되며, 액면에 부자를 띄워 그것이 상하로 움직이는 위치에 따라 액면을 측정하는 방식은?
※ 플로트식
● 다음 서미스터 저항온도계에 사용되는 서미스터 재질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크롬
● 다음 중 광학적 성질을 이용한 가스분석법은?
※ 적외선 흡수법
● 다음 중 열량의 계량 단위가 아닌 것은?
※ 와트(W)
● 액면계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박막식 액면계는 저압밀폐탱크와 고농도액체 저장탱크의 액면측정에 용이하다.
● 철강제 가열로의 연소가스는 어떤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가?
※ 환원성 분위기어야한다.
● 보일러 부속기기 중 발생 증기량에 비해 소비량이 적을 때 남은 잉여증기를 저장 하였다가, 과부하시 긴급히 사용하는 잉여증기의 저장장치는?
※ 증기 축열기
● 다음 중 라몽트 노즐을 갖고 있는 보일러는 어느 형식의 보일러 인가?
※ 강제순환식 보일러
● 배관용 연결부속 중 관의 수리,점검,교체가 필요한 곳에 사용되는 것은?
※ 유니온
● 다음 중 아담슨 조인트, 갤로웨이관과 관련이 있는 원통보일러는?
※ 노통보일러
● 보온재의 구비조건으로 틀린것은?
※ 흡습,흡수성이 커야 한다.
● 에너지 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검사대상기기의 계속사용검사신청서를 검사유효기간 만료 최대 며칠 전까지 제출해야 하는가?
※ 10일전
● 증기트랩 중 고압증기의 관말트랩이나 유닛,히터 등에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상향식과 하향식이 있는 트랩은?
※ 버킷 트랩
● 기수분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 중에 남아있는 물방울을 제거하는 장치
● 다음 중 관류보일러로 옳은 것은?
※ 술저 보일러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에 따라 검사의 종류 중 개조검사 적용 대상이 아닌 것은?
※보일러의 설치장소를 변경하는 경우
● 증기와 응축수와의 비중차를 이용하는 증기트랩은?
※ 버킷형
● 보일러 증기과열기의 종류 중 증기와 열 가스의 흐름이 서로 반대 방향인 방식은?
※ 향류식(대향류)
● 화염의 이온화를 이용한 전기 전도성으로 화염의 유무를 검출하는 화염검출기는?
※ 플래임 로드
● 축열식 반사로를 사용하여 선철을 용해, 정련하는 방법으로 시멘스-마팀법이 라고도 하는 것은?
※ 평로
● 원통형 보일러와 비교한 수관식 보일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보유수량이 적어 부하변동에 따른 압력변화가 작다.
●두 개의 단열과정과 두 개의 등온과정으로 이루어진 사이클은?
※ 카르노사이클
● 어떤 계가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할 때, 이 계의 엔트로피의 변화는?
※ 증가,감소,불변 모두 가능하다.
● 카르노 사이클로 작동되는 기관이 250도에서 300KJ의 열을 공급받아 25도에서 방열했을 때의 일은 얼마인가?
※ 129KJ
● 다음 연료 중 이론공기량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것은?
※ 아세틸렌
● 어느 열기관이 외부로부터 Q의 열을 받아서 외부에 100KJ의 일을 하고 내부에너지가 200KJ 증가하였다면 받은 열은 얼마인가?
※ 300 KJ
● 고체 연료가 가열되어 외부에서 점화하지 않아도 연소가 일어나는 최저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착화온도
● 탄화도를 기준으로 석탄을 분류할 때 탄화도 증가에 따라 석탄의 일반적인 성질 변화로 옳은 것은?
※ 수분이 감소한다.
● 증발잠열이 0 kcal/kg이고, 액체와 기체의 구별이 없어지는 지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임계점
● 이상기체의 특성이 아닌 것은?
※ 엔탈피는 압력만의 함수이다.
● 방사온도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방사율에 의한 보정량이 적다.
● 다음 중 유체의 흐름 중에 프로펠러 등의 회전자를 설치하여 이것의 회전수로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의 종류는?
※ 유속식
● 다음의 연소가스 측정방법 중 선택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 자기식
● 보일러 자동제어의 수위제어방식 3요소식에서 검출하지 않는 것은?
※ 노내압
● 여러 성분의 가스를 분석할 수 있으며 분리성능이 매우 좋고 선택성이 뛰어나 기체 및 비점 300도 이하의 액체시료 분석에 사용되는 분석기는?
※ 가스크로마토그래피
● 노내압을 제어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조작은?
※ 급수량 조작
● 증기 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 저압의 증기를 고압의 증기로 증압시킨다.
● 다음 중 열량의 단위가 아닌 것은?
※ 입방미터매초
● 다음 중 연소실내의 온도를 측정할 때 가장 적합한 온도계는?
※ 열전대 온도계
● 편차의 적분차를 가감하여 조작단의 이동속도가 비례하는 동작으로 잔류편차가 남지 않으나 제어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동작은?
※ 적분 동작
● 잔류 편차를 남기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다른 동작과 결합시켜 사용되는 것은?
※ P 동작
● 내경 25.4mm인 관도에서 물의 평균유속이 1m/sec 일 때 중량 유량은 약 몇 kg/s 인가?
※ 0.51
● 물체의 탄성 변위량을 이용한 압력계가 아닌 것은?
※ 경사관식 압력계
● 계량 계측기의 교정을 나타내는 말은?
※ 지시값과 표준기의 지시값 차이를 계산하는 것
● 보일러 열정산시 측정할 필요가 없는 것은?
※ 과열기의 전열면적
● 열전대 온도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
※ 전원이 필요하다.
● 액면에 부자를 띄어 부자가 상하로 움직이는 위치로 액면을 측정하는 것
※ 플로트식 액면계
● 전기로나 시멘트 소성용 회전가마의 소성대 내벽에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내화물은?
※ 크룸-마그네시아 내화물
● 20도 상온에서 재료의 열전도율이 큰 순서대로 나열된 것으로 옳은 것은?
※ 구리-알루미늄-철-물-고무
● 검사대상기기의 계속사용검사 중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항목의 검사에 불합격한 경우 일정기간 내 그 검사에 합격할 것을 조건으로 계속 사용을 허용한다. 그 기간은 몇 개월 이내인가?
※ 6개월
● 강도와 유연성이 커서 곡률반경에 대해 관경의 8배까지 굽힘이 가능하고 내한 내열성이 강한 배관재료는?
※ 폴리부틸렌관
● 열사용기자재 중 검사대상기기에 해당되는 것은?
※ 제2종 압력용기
● LD 전로법을 평로법에 비교한 것으로 틀린 것은?
※ 평로법보다 고철의 배합량이 많다.
● 증기보일러의 부속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팽창장치
● 보일러 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관 속에 물이 흐르고 외부의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관은 연관이다. (수관)
● 검사대상기기인 보일러의 계속사용검사 중 운전성능검사의 유효기간은?
※ 1년
● 머플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로 내는 높은 진공분위기가 된다.
● 보일러 연소 시 배기가스 성분 중 완전연소에 가까울수록 줄어드는 성분은?
※ CO
● 다음 중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소형 온수보일러에 해당하는 것은?
※ 전열면적이 14m2 이하이고 최고사용압력이 0.35MPa 이하의 온수를 발행하는 것
●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비교적 크고, 내식성과 굴곡성이 풍부하여 전기단자, 압력계관, 급수관, 냉난방관에 사용되는 관은?
※ 동관
● 큐폴라의 다른 명칭은?
※ 용선로
● 노통연관 보일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증발량이 많아 증기발생 소요시간이 길다.
● 섹션이라고 불리는 여러 개의 물집들을 연결하고 하부로 급수하여 상부로 증기 또는 온수를 방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압력에 약해서 0.3MPa 이하에서 주로 사용하는 보일러는?
※ 주철제 보일러
● 안전밸브의 증기누설이나 작동불능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밸브 구경이 사용압력에 비해 클때
● 다음 중 수관식 보일러에 속하는 것은?
※ 바브콕 보일러
● 보일러의 설치시공기준에서 옥내에 보일러를 설치할 경우 다음 중 불연성 물질의 반격벽으로 구분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보일러가 아닌 것은?
※ 노통 보일러
● 보일러에서 압력차단(제한)스위치의 작동압력은 어떻게 조정하여야 하는가?
※ 안전밸브 작동압력보다 약간 낮게 조정한다.
● 사용 중인 보일러의 점화 전 준비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압력계의 지시압력 감시 등 증기압력을 관리한다.
● 사용 중인 보일러의 점화 전 점검 또는 준비사항이 아닌 것은?
※ 노벽 및 내화물 건조
● 보일러를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 보존할 경우 가장 적합한 보존법은?
※ 건조 보존법
● 보일러 사고 중 취급상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공작시공 및 사용재료의 불량
● 급수용으로 사용되는 표준대기압에서 물의 일반적 성질 중 맞지 않는 것은?
※ 응고점은 100도 이다.
● 보일러를 건조보온 방법으로 보존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모든 뚜껑, 밸브, 콕 등은 전부 개방하여 둔다.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에너지사용량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량 이상인 자는 매년 언제까지 신고해야 하는가?
※ 1월 31일
● 보일러의 설계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 연소실은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하여야 하며 물청소를 할 수 없는 구조로 설계한다.
● 보일러의 용수처리는 관내처리와 관외처리로 분류되는데 다음 중 관내처리에 해당되는 것은?
※ PH조절
● 보일러실 내의 유류화재 시 소화설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
※ 분말소화설비
● 보일러 점화 시 역화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연료 댐퍼가 열려 있었다.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에너지다소비사업자가 매년 1월 31일까지 신고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전년도의 수지계산서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검사에 불합격한 검사대상기기를 사용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 증기의 건도(x)가 '0' 이면 무엇을 말하는가?
※ 포화수
● 하트포드 배관에서 환수주관과 균형관의 연결 위치는 보일러 사용수위(표준수위)에서 몇 mm 아래 위치하는가?
※ 50
● 보일러 수격작용의 방지법이 틀린 것은?
※ 주증기밸브를 열 때의 신속히 개방한다.
● 보일러 운전 정지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벽돌 쌓은 부분이 많은 보일러는 압력 상승방지를 위해 급히 증기밸브를 닫는다.
● 보일러 수면계의 가능시험의 시기가 아닌 것은?
※ 수면계 수위의 움직임이 민첩할 때
● 천연가스는 약 몇 도에서 액화되는가?
※ -162도
● 카르노사이클로 작동되는 효율 28%인 기관이 고온체에서 100KJ의 열을 받아들일 때, 방출열량은 몇 KJ인가?
※ 72
●전기식 집진장치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압력손실이 크다.
● 증기 동력사이클에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재생 - 재열사이클
● 15m3의 메탄가스를 공기와 같은 연소시킬 경우 이론 공기량은?
※ 9.52
● 어떤 물체의 온도를 1도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 으로 정의되는 것은?
※ 열용량
● 다음 연소장치 중 연소부하율이 가장 높은 것은?
※ 가스터빈
● 보일러 연소가스 폭발의 가장 큰 원인은?
※ 연소실 내에 미연가스가 차 있을 때
● 다음 중 보염장치가 아닌 것은?
※ 크레이머
● 메탄 1Sm3의 연소에 소요되는 이론공기량은?
※ 9.5
● 공기 냉동 cycle은 어느 cycle의 역 cycle인가?
※ Brayton
● 오토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일정한 압력에서 열방출을 한다.
●온도-엔트로피 선도 상에서 상태변화를 표시하는 곡선과 S축 사이의 면적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 열량
●액체연소장치의 무화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기체의 비중
●회분이 연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 연소실의 온도를 높인다.
●다음 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것은?
※ 40F는 절대 온도는 464.4K이다.
●기체연료의 연소방식 중 예혼합연소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 역화의 위험성이 매우 작다.
●다음 열기관 사이클 중 기상 이상적인 사이클은?
※ 카르노사이클
●물 1kg이 100도에서 증발할 때 엔트로피의 증가량은?
※ 6.1KJ/kg.K
●기체연료 연소장치인 가스버너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 연소의 조절범위가 좁고 보수가 어렵다.
●다음 중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에서 체적이 절대온도에 비례하게 되는 조건은?
※ 압력이 일정할 때
●가스연료 연소 시 발생하는 현상 중 옐로우 팁을 바르게 설명한것은?
※ 불꽃의 색상이 적황색으로 1차공기가 부족한 경우 발생하는 불꽃의 모양
●보일러 연소가스 폭발의 가장 큰 원인은?
※ 연소실 내에 미연가스가 차 있을때
●연소 시 일반적으로 실제공기량과 이론공기량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하는가?
※ 실제 공기량은 이론공기량보다 커야 한다.
● 카르노사이클의 작동순서로 알맞은것은? = 등단등단
※ 등온팽창->단열팽창->등온압축->단열압축
●열전대 온도계의 보호관 중 상용 사용온도가 약 1000도로서 급열, 급냉에 잘 견디고, 산에는 강하나 알칼리에는 약한 비금속 온도계 보호관은?
※ 석영관
●다음 중 접촉식 온도계가 아닌것은?
※ 광고온계
●다음 중 유체의 흐름 중에 프로펠러 등의 회전자를 설치하여 이것의 회전수로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의 종류는?
※ 유속식
●증기보일러의 용량표시 방법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격용량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상당증발량
●다음 공업 계측기기 중 고온측정용으로 가장 적합한 온도계는?
※ 열전대 온도계
●열전대의 종류 중 환원성이 강하지만 산화의 분위기에는 약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IC열전대라고 부르는것은?
※ 철-콘스탄탄
●2개의 제어계를 조합하여 1차 제어장치가 제어량을 측정하여 제어명령을 발하고, 2차 제어장치가 이 명령을 바탕으로 제어량을 조절하는 제어방식은?
※ 캐스케이드 제어
●다이어프램 압력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 먼지를 함유한 액체나 점도가 높은 액체의 측정에는 부적당하다.
●보일러에서 사용하는 압력계의 최고 눈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 보일러 최고사용압력의 3배 이하로 하되 1.5배보다 작아서는안딘다
●다음 중 열전대 온도계의 비금속 보호관이 아닌것은?
※ 황동관
●보일러의 열 정산의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측정시간은 3시간으로 한다. (2시간O)
●미세한 압력 측정용으로 가장 적절한 압력계는?
※ 경사관식
●보일러 본체에서 발생한 포화증기를 같은 압력하에서 고온으로 재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장치는?
※ 과열기
●화학적 가스분석계의 측정법에 속하는것은?
※ 연소열법
●과열기 설치 형식에서 대향류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것은?
※ 열전달이 양호하고 고온에서 배열관의 손상이 크다.
●내화물이 구비하여야 할 물리적,화학적 성질이 아닌것은?
※ 상온에서는 압축강도가 작아도 좋으나 사용온도에서는 커야함
●검사대상기기의 계속사용검사 중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항목의 검사에 불합격한 경우 일정기간 내 그 검사에 합격할 것을 조건으로 계속 사용을 허용한다. 그 기간은 몇 개월 이내인가?
※ 6개월
●비동력 급수장치인 인젝터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 급수량의 조절이 쉽다.
●다음 중 아담슨 조인트, 갤로웨이관과 관련이 있는 원통보일러는?
※ 노통보일러
●보일러에 공기예열기를 설치했을 때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 질이 나쁜 연료는 연소가 불가능하다.
●보일러의 가용전(가용마개)에 사용되는 금속의 성분은?
※ 납과 주석의 합금
●강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변호인 스케쥴 번호를 나타내는 식은?
※ 10 x P/S
●간접가열용 열매체 보일러 중 다우섬액을 사용하는 보일러 형식은?
※ 슈미트-하트만보일러
●다음 중 가스 절단에 속하지 않는것은?
※ 플라즈마 제트 절단
●수관보일러의 특징으로 틀린것은?
※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청소,수리가 용이하다.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검사면제를 위한 보험을 제조안전보험과 사용안전보험으로 구분할 때 제조안전보험의 요건
※ 검사대상기기의 계속사용에 따른 재물 종합위험 및 기계위험을 담보할것
●다음 보일러 중 일반적으로 효율이 가장 좋은것은?
※ 노통연관 보일러
●관의 지름 바꿈 = ※ 리듀셔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증기보일러에 설치되는 안전밸브가 2개 이상인 경우 각각의 작동시험 기준은?
※ 최고사용압력의 1.0배 이하, 1.03배 이하
●보일러 사고의 종류인 저수위의 원인이 아닌것은?
※ 관수의 농축
●증기트랩 불량으로 인한 증기 누출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간헐적 작동
●보일러 내면의 상당히 넓은 범위에 걸쳐 거의 똑같이 생기는 상태의 부식으로 가장 적합한것은?
※ 전면부식
●다음 중 보일러 급수에 함유된 성분 중 전열면 내면 점식의 주원인이 되는것은?
※ O2
●보일러 손상의 형태 중 보일러에 사용하는 연강은 보통 200~300도 정도에서 최고의 항장력을 나타내는데, 750~800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결정립의 변화가 두드러진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버닝
●보일러를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 보존할 경우 가장 적합한 보존법은?
※ 건조 보존법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에너지다소비사업자가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시.도지사에 신고해야 할 사항이 아닌것은?
※ 해당 연도의 수입,지출 예산서
●보일러에 사용되는 탈산소제의 종류로 옳은것은?
※ 하이드라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냉.난방온도를 제한온도에 적합하게 유지관리하지 않은 기관에 시정조치를 명할 때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 시정결과 조치 내용 통지 사항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검사대상기기관리자에 대한 교육기간은 얼마인가?
※ 1일
●보일러 수면계 유리관의 파손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프라이밍 또는 포밍 현상이 발생한 때
●보일러 운전 중 역화방지 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 실화 시 재점화 할 때는 노 내는 충분히 환기시킨 후 점화한다.
●보일러의 장기 보존 시 만수보존법에 사용되는 약품은?
※ 가성소다
●보일러 설치검사기준상 보일러 설치 후 수압시험을 할 때 규정된 시험수압에 도달된 후 얼마의 시간이 경과된 뒤에 검사를 실시하는가?
※ 30분
●다음 중 보일러 급수 내 장해가 되는 철염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것은?
※ 폭기법
●유류 보일러에서 연료유의 예열온도가 낮을 때 발생될 수 있는 현상이 아닌것은?
※ 기름의 분해가 발생한다.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효율관리기자재의 제조업자는 해당 효율관리기자재의 에너지 사용량을 어느 기관으로부터 측정 받아야 하는가?
※ 시험기관
●보일러에서 저수위로 인한 사고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증기 발생량의 부족
●보일러 관석의 성분이 아닌것은?
※ 염화칼슘(CaCI2)
●보일러에서 압력차단(제한)스위치의 작동압력은 어느 정도 조정하여야 하는가?
※ 안전밸브 작동압력보다 약간 낮게 조정한다.
'자격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34세 이하 청년 국가기술자격시험 기사자격증 응시료 지원 (0) | 2024.01.24 |
---|---|
2024년도 국가자격증 기술사.기능장.기사.산업기사 접수 및 시험일정 (매년 3회 접수비 50% 지원) (6) | 2024.01.24 |
2024년 인간공학기사 필기 요점정리! (3) | 2024.01.19 |
건축설비기사 필기 요점정리 (1) | 2023.12.23 |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필기 요점정리 (2) | 2023.12.05 |
방재기사 필기 요점정리 (6) | 2023.12.05 |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요점정리 (20) | 2023.12.05 |
위험물산업기사 실기 자료 공유 (1) | 202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