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산안기 작업형>
필답형에 이은 작업형도 전달드립니다.
작업형도 필답형처럼 문제답으로 외워주시면 됩니다.
----------------------------------------------------------------------------------------------------------------------------------------------------------------
터널공사 다이너마이트 / 터록부
터널지보공설치
록볼트설치
부석제거
박공지붕작업 위험요인,안전대책 / 추안안안
추락방호망 미설치-설치
안전대 미착용-착용
안전난간 미설치-설치
안전대 부착설비 미설치-설치
배전반 / 감전 / 외부 / 배전반,전류
감전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인체안으로 통과하는것
가까우면 배전반 멀면 전류
단무지공장 수중펌프 / 누수절 / 누수전 / 누 / 사
누전차단기 설치확인
수중펌프 외함의 접지상태 점검
절연저항 측정 실시
누전차단기 설치
수중펌프와 전선의 이음매 부분 작업 전 점검
전선은 수분침투가 불가능한 것으로 사용
누전차단기
사람이 수중에있으므로 인체피부저항이 1/25로 감소되어 쉽게 감전된다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 위험요인,안전대책 / 장보방전
장갑착용 금지
보안경 미착용 착용
방진마스크 미착용 착용
전원을 차단하지않고 점검 차단하고 점검
자동차 세척하는 과정 / 흡연,불침투성착용 / 폭화
작업중의흡연금지
세척작업시 불침투성 보호장화,보호장갑 착용
폭발 화재
분리식방진마스크 = 99.95% / 94% / 80% 이상
여과식방진마스크 = 99% / 94% / 80% 이상
귀마개 문제
1종=EP-1=저음부터 고음까지 차음하는것
2종=EP-2=고음만을 차음하는것
프레스기 급정지기구 미부착 문제 / 양게수손
양수기동식
게이트가드식
수인식
손쳐내기식
이동식리프트 방호장치 및 보기의 빈칸 = 권과제비 / 3년,2년,6개월
권과방지장치
과부하방지장치
제동장치
비상정지장치
고압전선로 옆 항타기,항발기작업 사고원인,안전대책 / 절울접이감
절연방호구 미설치 설치
울타리 미설치 설치
접지점 미관리 관리
이격거리 미확보 확보
감시인 미배치 배치
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 몸이 굳어 쓰러짐 / 감전 / 정절
정전작업 미실시 (기계전원 미차단)
절연보호구 미착용
승강기컨트롤패널작업 / 감전 / MCC패널,전류 / 잔류전하 / 절감안
절연용 보호구 착용
감시인 및 작업지휘자 배치
안전교육 실시 작업자들에게
LPG 문제 = 폭발 / LPG
유해화학물질 흡수경고 및 게시사항 = 호소피 / 발생생
호흡기
소화기
피부
발암성물질
생식독성물질
생식세포 변이원성물질
터널 굴착공사 중에 사용되는 계측방법의 종류 = 내지천록
내공변위 측정
지중변위 측정
천단침하 측정
록볼트 축력 측정
탁상용 연삭기 작업 = 탁상용연삭기 / 칩비산방지판 / 15도~30도
프레스작업에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사항 = 작프이게
작업전 전원차단 후 이물질 제거
프레스를 일정 정지하고 페달에 U자형 덮개씌움
이물질제거시 수공구사용
게이트가드식 안전장치 등 설치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설치장소 및 설치대상 = 물대임철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 / 에서 사용하는 저압용 전기기계기구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장소 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 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철판,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 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유기화합용 드럼통 드는 작업 눈.손.신체에 필요한 보호구 = 보,불보장,불보복
보안경
불침투성 보호장갑
불침투성 보호복
지게차에 주유 중 흡연 및 이야기를 나눔 / 담배화재 / 부주의 바닥 유류 넘침 화재 / 시동걸려 오동작사고
주유 중 담배를 피워 화재발생위험
부주의로 인하여 주유 중 바닥에 유류가 넘쳐 화재발생위험
지게차에 시동이걸려있어 오동작에 인한 사고발생위험
근본적원인: 인화성물질이있는장소에서 흡연을 하여 화재 및 폭발위험에 노출되어 화재가 발생할수있다.
발화원형태의명칭: 나화
항타기 빈칸 = 15배 / 중심 / 수직면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발판의 설치기준 = 발작작추
발판재료는 작업시 하중에 견딜수있도록 견고하게 설치할것
작업발판의 지지물은 하중에 의하여 파열될 우려가 없는것으로 사용할것
작업발판을 작업에따라 이동시킬때 위험방지에 필요한 조치를 할것
추락위험이있는경우에는 안전난간 설치할것
방진마스크 일반적인 구조조건 = 착전안여
착용시 압박감 및 고동을 주지않을것
전면형은 호흡시 시야가 흐려지지않을것
안면부여과식마스크는 여과재를 안면에 밀착시킬것
여과재로 된 안면부가 사용기간 중 심하게 변형되지않을것
석면취급하는 작업시 안전작업방법 = 호국습다
호흡용보호구 착용
국소배기장치 설치
습기유지
다른 작업장소와의 격리
항타기,항발기 조립작업시 점검사항 = 본권권버
본체연결부의 풀림 또는 손상의 유무
권상기 설치상태의 이상 유무
권상장치의 브레이크 및 쐐기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버팀의방법 및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
활선 작업중 감전사고 발생 = 붐절활
붐대의 활선 접촉에 따른 감전위험
절연용보호구 미착용에 대한 감전위험
활선작업거리 미확보에 따른 감전위험
승강기모터벨트 기름먼지 청소 중 손이 끼임 / 끼임점 / 끼임 /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안전화의종류 = 가고정발절절
가죽제 고무제 정전기 발등 절연화 절연장화
지게차 운전 중 시야확보가 어려운 도중 작업자와 충돌 / 물작물 / 경하유
물작물
물건의 적재불량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야 불충분
작업자가 지게차의 운행경로에 나와 작업함
물건을 불안전하게 적재하여 화물의 낙하 위험
경하유
경적과 경광등을 사용하여 주의
하차하여 주변의 안전을 확인
유도자를 지정하여 지게차를 유도 또는 후진으로 서행
파란색걸이 = 안전블록
안전블록의 정의
=안전그네와 연결하여 추락을 억제할수있는 자동잠김장치가 있고 죔줄이 자동적으로 수축되는 장치
갖추어야할 구조 = 자부
=자동잠김장치가있을것
=부품은 부식방지처리를할것
일반적인 구조조건 = 사용길이,공칭지름4mm이상
=안전블록은 정격 사용길이가 명시될것
=안전블록의 줄은 합성섬유로프,와이어포르이어야하며 와이어로프는 공칭지름이 4mm이상인것
아파트 난간에서 창틀 창호설치 작업 = 추안안안 / 바닥
추락방호망 미설치
안전난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안전대 부착설비 미설치
가해물:바닥
크레인을 이용하여 전주 세우기 작업 활선전로와 접촉 = 활선전로접촉 / 절울접이
절연방호구 설치
울타리설치 또는 감시인배치
접지점 관리
이격거리확보
크레인 고압선 주변에서 작업시 안전수칙 = 절울접이
절연방호구 설치
울타리설치 또는 감시인배치
접지점 관리
이격거리확보
보안경을 착용하지않은 원심기를 점검 재해유발요인 / 보덮기회
보안경미착용
덮개미설치
기계의 전원을 차단하지않고 점검
회전기계에 목장갑착용
회전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연마작업 중 손이 말려들어가는 재해당함 = 위험요인:작비 / 안전대책:회비
작업시 장갑착용
비상정지장치,덮개 등 방호장치 미설치
회전하는기계에 장갑을 착용하지않는다
비상정지장치,덮개 등 방호장치 설치
작업자가 전주에 올라가다 표지판에 부딪혀 추락하는 재해 발생 재해원인 = 방머안
방해되는표지판을 미리 이설하지않음
머리위의 시야 확보 미흡
안전대미착용
전주설치 시 사고예방 관리적대책 = 작작개
작업내용에 대한 위험성주의 및 교육
작업지휘자에 의한 작업지휘 또는 감시인 배치
개인보호구착용 및 취급사항 교육감독
띠톱작업 중 자재를 꺼내려다 톱날에 장갑이 걸려들어가는사고 위험요인 / 장자자
장갑착용으로 인하여 손이 톱날에 끼일 위험
자재를꺼낼때 전원을 차단하지않아 위험
자재를꺼낼때 수공구를 사용하지않아 위험
연구실에서 안전장갑을 끼지 않은채 황산(H2SO4) 유리용기 세척중 손이묻어 사고발생 / 유 / 유 / 안
유해위험물질 노출 및 접촉
유해위험물질 노출 및 접촉 또는 흡입하였거나 독성동물에 쏘이거나 물린 경우
안전장갑을 사용하지않고 황산 취급
승강기 개구부 작업 중 인양하던 물건이 떨어져 밑에있던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 안전수칙 / 낙물작
낙하물방지망 설치
물건인양시 도르래 등의 기구사용
작업자는 안전모 등 보호구 착용
안전화의 성능시험 / 내답압충부유리
내답발성
내압박성
내충격성
내부식성
내유성
박리저항
밀폐장소에서 그라인더 작업 중 국소배기장치를 발로차서 전원공급이 차단되; 내부작업자가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사고발생 / 국환근 / 작환근
국소배기장치 전원 차단
환기 미실시
근로자 송기마스크 미착용
작업을하는장소의 산소여부의 적절성을 작업시작 전 점검
환기장치,측정장비 등 작업시작 전 점검
근로자에게 송기마스크 등의 착용을 지도하고 착용상황을 점검
작업자가 나무토막을 가공대 위에서 작업발판이 흔들림에 의하여 넘어지는 사고 / 넘 / 작 / 바
넘어짐
작업발판
바닥
H라고 쓰여진 녹색인 방독마스크를 착용 = 암 / 격 / 암 / 큐 / 0.05%이하 / 40분이상
종류: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형식:격리식전면형
가스종류:암모니아가스
흡수제:큐프라마이트
누설률:0.05%이하
파과시간:40분이상
C라고 쓰여진 갈색인 방독마스크를 착용 = 유 / 활 / 시디이
종류:유기화합물용 방독마스크
흡수제:활성탄
시험가스의종류:시클로헥산,디메틸에테르,이소부탄
집게가위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건물을 해체하는 해체계획서 작성 시 포함사항 = / 사해해해해
사업장 내 연락방법
해체물의 처분계획
해체방법 및 해체순서도면
해체작업용 기계기구 등의 작업계획서
해체작업용 화약류 등의 사용계획서
아크용접 슬러지를 털고 다시 용접작업 중 감전 쓰러짐 기인물 및 착용해야할 보호구 = / 교 / 용절
교류아크용접기
용접용보안면,절연장갑
특수화학설비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해 설치해야 할 장치 = 온유압자
온도계 유량계 압력계 자동경보장치
인쇄용롤러의 전원을 끄지않고 청소작업 중 손이 말려들어가는 사고 위험요인,안전대책 = 전방체 / 전인회똑
전원을 차단하지않은상태에서 ㅠ 손이말려들어감
방호장치 미설치로 인하여 손이말려들어감
체중을 실어 닦고있어 손이말려들어감
전원을 차단하고 청소
인터록 등 방호장치 설치
회전체에 장갑을 착용하지않는다
똑바로서서작업
컨베이어벨트 작업 시 안전조치사항 = 작장비야
작업시작 전 전원차단
장갑을 벗고 작업
비상정지장치 설치
야간에 점검하지않는다
차량계하역운반기계 부속장치의 장착 및 해체작업시작 전 조치사항 = 작하안작
작업계획서 작성 후 계획대로 진행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확인
안전지지대 또는 안전블록 등을 이용하여 받쳐줌
작업지휘자 지정하여 작업순서를 결정한 후 작업
작업발판 폭의기준 및 발판틈새의기준 = 40CM 이상 / 3CM 이하
인화성물질 및 저장소에서 작업자가 옷을 벗는 도중 폭발사고 발생 = 증기운폭발 / 대기중
폭발종류:증기운폭발(UVCE)
정의:대기중 확산되어있는 증기운이 어떤 점화원에 의하여 급격히 폭발하는 현상
화물의 떨어짐,넘어짐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사전점검 또는 조치사항 = 작와훅유
작업반경 내 관계근로자 외 출입금지
와이어로프의 안전상태 점검
훅의 해지장치 점검
유도로프 사용
스팀배관을 점검하던 도중 눈에 스팀압력에 의한 재해 및 화상 당한 사고 = 이상온도 / 보배
이상온도 노출접촉에 의한 화상
보안경미착용
배관 내 전압을 제거하지않고 점검
버스 정비를 위해 점검 중 작업자의 소매가 회전하는 샤프트에 말려들어가는 사고 = 회말 / 정작기
회전말림점
정비중임을 나타내는 표지판 미설치 설치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인 미배치 배치
기동장치에 잠금장치를하지않고 열쇠를 별도 미관리 잠금장치를하고 열쇠를 별도관리
작업자가 일반적인 덴탈마스크를 착용하나 석면분진폭로 위험성에 있어서 직업성질환 발생 우려 이유 및 직업병 종류 = 방진 / 폐석악
방진마스크의 미착용으로 석면분진이 마스크를 통해 흡입될수있다
1.폐암 2.석면폐증 3.악성중피종
DMF작업장 피부자극성 및 부식성관리대상 유해물질 취급시 비치하여야 할 보호구 = 불불불보방
불침투성 보호장갑
불침투성 보호장화
불침투성 보호복
보안경
방독마스크
영상표시단말기(VDT)작업의 개선사항,위험요인,얻는직업병 = 허모키 / 반장장 / 어손요시
허리를 등받이 깊숙이 지지하여 앉는다
모니터를 보기편한위치에 놓는다
키보드를 조작하기편한 위치에 놓는다
반복작업에 의한 어깨 및 손목통증
장시간 앉아있는 작업자세에 의한 요통위험
장시간 화면집중에 의한 시력저하위험
1.어깨결림 2.손목통증 3.요통 4.시력저하
김치제조공장에서 무채를 써는 슬라이스기계에 점검하던 도중 기계가 작동하여 손가락 절단사고 = 절 / 회 / 전인 / 인덮울
위험점:절단점
정의:회전하는운동부분 자체의 위험에서 초래되는 위험점
위험요인:전원을 차단하지않고 점검하여 위험
위험요인:인터록 등 방호장치 미설치로 인한 위험
필요한 방호장치:1.인터록 2.덮개 3.울
마그네틱 크레인 ON/OFF 봉을 건드려 금형이 발등 위로 떨어져 사고의 위험요인 = 안유작신
안전모미착용
유도로프미사용
작동스위치 전선이 벗겨져 감전위험
신호수 미배치
배전반 작업을 하던 도중 잔류전하에 의한 감전사고 재해 예방조치 = 정절관
정전작업 실시
절연보호구 착용
관리감독자는 작업에 대한 안전교육 시행
포대를 컨베이어 벨트에 올리는 작업도중 오른쪽 팔이 기계하단으로 들어가는 재해요인,조치사항 = 덮작 / 기부
덮개 또는 울 미설치로 인해 발생한 재해
작업자가 위험구역내에 위치하여 발생한 재해
기계의 전원 차단
부상자에 대한 응급조치
교류아크용접작업 작업자,작업장 측면 위험요인,유해광선의 종류 = 양 / 주 / 자
작업자측면: 양손동시 사용으로 작업자세 불안정
작업장측면: 주변 인화성물질이 산재되어 화재위험존재
유해광선의 종류: 자외선
고무제안전화 사용되는 장소,안전화의분류 = 일탄 / 일내
작업장종류:일반작업장,탄화수소류의 윤활유 등을 취급하는작업장
안전화종류:일반용,내유용
화약장전 화약안으로 4~5개 넣고 전선을 꼬아서 주변 선들위에 올리는 장면 위험요인과 준수사항 = 강 / 규
위험요인: 강봉으로 화약장전시 충격,마찰 등에 의해 폭발의 위험존재
준수사항: 규정된장전봉으로 장전을 실시
방진마스크의 구비조건 = 사중시여
사용적이적을것
중량이가벼울것
시야가넓을것
여과효율이좋을것
휴대용연삭기 = 덮개 / 180도이내 / 180도이상
방호장치:덮개
노출각도:180도 이내
설치각도:180도 이상
화물자동차 및 지게차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제하바전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바퀴의 이상 유무
전조등,후미등,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 형광등을 교체하다 추락 위험요인 = 작작안
작업전 컨베이어 전원 미차단
작업하는자세의 불안정
안전모 등 보호구 미착용
페인트작업 강재파이프에 스프레이건으로 페인트칠을 하는 작업 마스크,흡수제 = 방독 /활소큐알
영상에서나온마스크:방독마스크
흡수제종류:활성탄,소다라임,큐프라마이트,알칼리제
전주에 올라서서 변압기볼트를 조이는 작업을 하다가 추락 위험요인 = 안딛
안전대 미연결
딛고 선 발판 불안
이동식크레인 수신호가 맞지않아 배관이 작업자위로 떨어지는재해 작업방법 미준수사례 = 유무슬
유도로프 미사용
무전기 사용하여 신호할때 일정한 신호방법 미리 정하지않음
슬링와이어의 체결상태 미확인
선반에 사포를 갈아 손으로 지지하고있다가 작업복이 말려들어가는 사고 위험점과 정의 = 회말 / 회전하는물체
위험점:회전말림점
정의:회전하는물체에 작업복 등이 말려드는 위험점
지게차의 안정도
전후안정도: 4%이내
좌우안정도: 6%이내 (단,5ton 이상): 3.5%이내
주행시 전후안정도: 18%이내
주행시 좌우안정도: 15+1.1V=15+1.1x5=20.5%이내
폭발성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실험실 안에가기전에 신발에 물을 묻히고 들어가서 작업 = 바닥면과 신발 접촉 / 다량
신발에 물묻히는이유: 바닥면과 신발 접촉으로 인한 정전기에 의한 폭발발생 방지
화재시 적합한 소화방법: 다량의 주수에 의한 냉각소화
브레이크라이닝 세척작업 시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 = 불불불보방
불침투성 안전장갑
불침투성 안전장화
불침투성 보호복
보안경
방독마스크
방독마스크의 안전인증표시 외 추가 표시사항 = 파정사사
파과곡선도
정화통의 외부 측면의 표시색
사용시간 기록카드
사용상의 주의사항
안전대 명칭, 각부의 명칭 , 벨트의 구조와 치수 기준 , 정하중 성능시험 빈칸 = 벨트 / 카라비너,훅 / 강인한실,벨트의너비 / 15KN
안전대명칭:벨트식
각부의명칭: 1.(작은거)카라비너 2.(큰거)훅
벨브구조 및 치수기준:강인한실로 짠 작물로 비틀어짐 결함X , 벨트너비50mm이상,길이1100mm이상,두께2mm이상
인장시험기로 15KN
전주에서 작업자들이 착용하고 있는 안전대의 종류 및 용도= 벨트 / U자
종류: 벨트식
용도: U자걸이전용
밀폐작업 중 퍼지작업의 종류 = 진압스사
진공퍼지 압력퍼지 스위프퍼지 사이펀퍼지
작업자가 사용하는 마스크를 확대하여 보여주고있다 = 방진 / 등급3개 / 산소농도
명칭:방독마스크
등급3종류:1급,2급,특급
산소농도:18%
누설감지경보기 미설치로 LPG저장소 가스 폭발사고의 적절한설치위치 및 경보설정값 = 바닥 / 25%
설치위치: 바닥근처낮은곳에 설치
경보설정값: 폭발하한계 25%이하
위에서 작업하던 작업자가 인양하던 도중 물체가 밑으로 떨어져 아래 작업자에게 재해발생 = 맞음 / 날아떨어맞음
재해형태: 맞음
정의: 날아오거나 떨어진물체에 맞음
유해물질 취급시 일반적인 주의사항 = 유유실점환
유해물질 사전조사
유해물질 발생원인차단
실내환기
점화원제거
환경의 정돈 및 청소
보안경 및가용 장갑 착용하고 드릴작업하면서 손이 다치는 재해 위험요인 = 보안경미착용 / 장갑착용
1. 보안경미착용으로 입으로불어 침을 제거하고있어 이물질이 눈에 들어갈 위험
2. 수공구를 사용하지않고 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칩을제거하다 손이 다칠 위험
작업자가 탱크내부와 같은 밀폐공간에서 콘센트에 발이걸려 환기장치가 꺼지고 밀폐작업자가 쓰러진 핵심위험요소 = 송국감
송기마스크,공기호흡기 등 보호구미착용
국소배기장치 전원부에 잠금장치 미설치
감시인미배치
타워크레인 운전과 관련한 안전 작업방법 미준수사항 강관비계가 낙하하여 아래에 있는 작업자 재해 발생 = 관신유훅
관계근로자 외 출입금지하지않음
신호수미배치
유도로프미사용
훅의 해지장치 미설치
중량물 인양작업 시 중량물이 떨어뜨려 재해 준수할 안전수칙 = 개관중
개인보호구지급 및 작업자착용 철저
관계근로자 외 출입금지 설치
중량물작업 시 올바른 작업방법 준수 철저
가죽제안전화의 뒷굽높이를 제외한 몸통 높이에 따라 3가지로 구분 = 단중장
단화: 113mm미만
중단화: 113mm이상
장화: 178mm이상
이동식크레인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권브와
권과방지장치 및 그밖의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브레이크,클러치 및 조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롤러기를 닦다가 손이 물려 들어가는것의 위험점 = 물림점 / 2개의회전체 / 회전체가 서로
위험점: 물림점
정의: 2개의 회전체에 물려들어가는 위험점
발생조건: 회전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맞물려 회전할것
A라고 쓰여진 회색인 정화통을 끼운 방독마스크 = 할로겐용 / 격리석전면형 / 염소 / 활소
할로겐용방독마스크
격리식전면형
염소가스
활성탄,소다라임
대화하면서 사포를 갈아 손으로 지지하다 손이미끄러져 말려들어간 재해 재해요인,위험점 = 회작기 / 회말
회전물에 손으로지지하고있기때문에 작업복과 손이 말려들어갈 위험
작업에 집중하지않아 작업복과 손이 말려들어갈 위험
기계위에 손을 올려놓고있어 손이 말려들어갈 위험
위험점: 회전말림점
선박밸러스트 탱크 내부 작업에서 필요한 비상시 피난용구 = 송공사섬
송기마스크
공기호흡기
사다리
섬유로프
프레스기에 금형 교체작업 중 안전을 위한 점검사항 = 펀펀다다생
펀치와 볼스터면의 평행도
펀치와 다이의 평행도
다이와 볼스터면의 평행도
다이홀더와 펀치의 직각도
생크홀과 펀치의 직각도
전기형강작업 위험요인, 작업 전,중,종류후 조치사항 = 작절작 / 전검단 / 작개단 / 시개단
작업중흡연
절연보호구미착용
작업발판불안정
전검단
전력케이블,전력콘덴서 등의 잔류전하 방전
검전기로 개로된 전로의 충전여부확인
단락접지기구로 단락접지
작개단
작업지휘자에 의한 작업지휘
개폐기의관리
단락접지의 수시확인
시개단
시건장치,표지판 철거
개폐기투입으로 송전재개
단락접지기구 철거
섬유공장에서 실을 감는 섬융기계 기계가 갑자기 돌아가며 손과몸이 회전체에 끼이는 재해 핵심위험요인 = 기장기
기계의전원 차단하지않고 점검하여 말려들어갈 위험에 노출
장갑 착용으로 점검하여 말려들어갈 위험에 노출
기계에 인터록장치 미설치로 인한 위험에 노출
이동식크레인으로 전주를 옮기는 과정에서 다른 작업자가 떨어진 전주에 맞아 사고발생 = 맞음 / 전주 / AE,ABE
재해명칭: 맞음
가해물: 전주
착용해야 할 전기용안전모의 종류: AE,ABE
퍼지작업에 대한 목적 마지막에는 환기작업하는 모습 가연성지연성가스,독성가스,불활성가스의 경우 = 화 / 중 / 산
가연성,지연성가스: 화재폭발방지 및 산소결핍에 의한 질식사고방지
독성가스: 중독사고방지
불활성가스: 산소결핍에 의한 질식사고방지
컨베이어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원이비원
원동기 및 풀리 기능의 이상 유무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원동기,회전축,기어 및 풀리 등의 덮개 또는 울 등의 이상 유무
방열복 내열 원단의 시험성능 기준 = 내내난절인
내열성시험
내한성시험
난연성시험
절연저항시험
인장강도시험
안전모의 안전인증 기준 빈칸 = 440g , AE형 , 7000V
맨손으로 임시배전반에서 드라이버로 점검 중 컨트롤박스에 문에 끼어 감전재해 발생 위험요인 = 작문
작업자의 절연장갑 미착용
문에 잠금장치 및 통전금지 표찰 미설치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방호장치 = 인터록
작업자가 부적절한 작업발판을 밟고 교량점검작업을 하던 도중에 추락하는 사고 폭기준,재해원인 = 40CM이상 / 추안안안
폭의기준: 40cm이상
재해원인:추안안안
추락방호망 미설치
안전난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안전대 부착설비 미설치
전주작업에서 착용하여야 할 안전대의 종류 = 벨안
1.벨트식 2.안전그네식
감전사고 변압기의 2차전압 측정기기를 철거하다 감전사고 발생 = 절안작 / 절안작(반대)
절연용보호구 미착용 착용
안전확인 소홀히한다 확실히한다
작업자간 신호전달 잘 이루어지지않음 신호전달을 확실히한다
제일높은 해체물의 높이가 7m일때 해체장비와 해체물 사이의 안전거리
=안전난간=0.5x해체물높이=0.5x7=3.5m 이상
크레인으로 배관을 인양하던 도중 화물 인양시 준수사항 =작와훅유
작업반경 내 관계근로자 외 출입금지
와이어로프의 안전상태 점검
훅의 해지장치 점검
유도로프 사용
철골 위에서 발판을 설치하는작업을하던 중 발판 상단을 지나다가 걸려 땅으로 떨어져 재해 발생 = 떨어짐 / 발판
사출성형기의 이물질 제거 시 재해발생 방지대책 = 작작이
작업전 전원차단 후 이물질제거
작업시 절연용보호구 착용
이물질제거시 수공구사용
이동식크레인 운전자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 = 작업전중종 일운이
작업전 일정한 신호방법을 정하고 신호수의 신호에 따라 작업
작업중 운전석이탈을 금지
작업종료후 이동식크레인 동력차단
이동식크레인 작업의 배관이 흔들리며 작업자들이 배관에 맞는 재해 위험요인 = 줄와훅유
줄걸이방법불량(2중걸이)
와이어로프 안정상태 미점검
훅의 해장치 미설치
유도로프 미사용
프레스로 철판에 구멍을 뚫는 작업에서 위험예지포인트 = 주보이작
조변 정리정돈 불량으로 넘어져 다칠수있다
보안경미착용으로 인한 이물질이 눈에 들어갈수있다
이물질을 손으로 제거하다가 손이 다칠수있다
작업자실수로 페달을 밟아 손이 다칠수있다
작업자와 해체장비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m 이상 이격하는가 = 4m 이상
인화성물질의 증기,가연성가스 또는 분진이 존재하여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의 예방대책 = 실분가작
실내환기
분진 미리제거
가스검지 및 경보장치 설치
작업자에게 인화성물질에 대한 안전교육실시
방호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넓히는 작업을 하고있는 위험요인 = 안보장덮
안전모미착용으로 인한 위험
보안경미착용으로 인한 위험
장갑착용으로 인한 위험
덮개미설치로 인한 위험
안전모의 각 세부명칭
1.모체
2.머리받침대,3.머리고정대,4.머리받침고리
5.턱끈
6.챙
7.충격흡수재
밀폐공간의 적정 공기수준
산소농도범위:18%-23.5%
탄산가스의농도:1.5%
일산화탄소의농도:30ppm
황화수소의농도:10ppm
방호장치가 없는 둥근톱 기계에 고정식 톱날접촉예방장치를 설치할때 가공재,테이블의 간격높이 = 8mm / 25mm
하단+가공재 간격: 8mm이하
하단+테이블 높이: 25mm이하
하단+가공재 최대간격: 8mm
하단+테이블 최대높이: 25mm
방열복의 질량
방열상의: 3.0이하
방열하의: 2.0이하
방열일체복: 4.3이하
방열장갑: 0.5이하
방열두건: 2.0이하
축구공 변전실에 대한 안전대책 = 변관잠전전
변전실 관계자출입금지 표지판 설치
변전실 잠금장치설치
변전실 전원차단 후 공 제거
변전실 전기위험에 대한 안전교육 실시
용접용보안면 등급기준 및 투과율의종류 = 차광도번호 / 자시적
등급기준: 차광도번호
투과율의종류=자시적
자외선 최대 분광 투과율
시감투과율
적외선투과율
철골공사 작업의 중지기준
풍속:10m/s 이상인 경우
강우량:1mm/hr 이상인 경우
강설량:1cm/hr 이상인 경우
충전전로에서 전기작업을하거나 그 부근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의 안전대책 = 절절활
절연용보호구 착용
절연용방호구 설치
활선작업용기구 및 장치사용
롤러기 방호장치인 급정지장치 빈칸
손조작식: 밑면에서 1.8m 이내
복부조작식: 밑면에서 0.8m 이상 1.1m 이내
무릎조작식: 밑면에서 0.4m 이상 0.6m 이내
노란색 안전대의 명칭 및 각부의 명칭 = 죔줄 / 카라비너 훅
고소작업대 이동시 , 안전작업 준수사항 = 작이작 / 안안관
이동시준수사항=작이작
작업대를 가장 낮게 내릴것
이동통로의 요철상태 또는 장애물의 유무 등 확인
작업대를올린상태에서 작업자를 태우고 이동하지말것
안전작업준수사항=안안관
안전대 착용
안전모 착용
관계근로자외 출입금지
섬유공장에서 먼지를 손으로 닦으며 작업자의 눈과 귀를 확대하여 보여주고있는 적절한 보호구 = 귀보방
귀마개
보안경
방진마스크
화면에서 "A-1"이라고 쓰여있는 기계의 장치의 명칭과 구조 = 광전자식 / 투수컨으로 구성된것
명칭: 광전자식방호장치
구조: 투광부,수광부,컨트롤부분으로 구성된것으로 신체의 일부가 광선을 차단하면 기계를 급정지시키는 방호장치
중량물을 취급하는작업에서 작성하는 작업계획서 포함사항 = 추낙전협붕
추락위험을 예방할수있는 안전대책
낙하위험을 예방할수있는 안전대책
전도위험을 예방할수있는 안전대책
협착위험을 예방할수있는 안전대책
붕괴위험을 예방할수있는 안전대책
특수화학설비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해야 할 계측장치 = 온유압
온도계, 유량계, 압력계
이동식비계의 설치 준수사항 및 위험요인 = 승작비작 / 승안작
준수사항=승작비작
승강용사다리는견고하게설치할것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250KG을 초과하지않을것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하는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것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디를 사용하여 작업하지않을것
위험요인=승안작
승강용사다리 견고하게 설치안됨
안전난간 미설치
작업발판을 수평으로 유지안함
터널 굴착공사에서 사용되는 터널지보공 점검사항 = 부부부기
부재의 손상,부식,변형,변위 및 탈락의 유무
부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의 상태
부재의 긴압의 정도
기둥침하의 유우와 상태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안전수칙 = 콘콘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경우에는 편심이 발생하지않도록 골고루 분산하여 타설할것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거푸집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충분한 보강조치를할것
-설계도서상의 콘크리트양생기간을 준수하여 거푸집동바리등을 해체할것
보안면의 채색 투시부의 차광도의 구분 = 밝중어
밝음:50+-7%
중간밝기:23+-4%
어두움:14+-4%
석면분진폭로(브레이크라이닝) 장기간 폭로시 위험요인 및 직업병 = 폐석악
1)위험요인: 착용한마스크는 방진용마스크가 아니기때문에 석면분진이 마스크를 통해 흡입될수있음
2)직업병:폐석악 -> 폐암 , 석면폐증 , 악성중피종
승강기(리프트) & 건설작업용리프트 등 작업 전 점검사항 및 리프트 방호장치 = 방와 / 권과제비
방호장치,브레이크 및 클러치 기능의 점검
와이어로프가 통하고있는곳의 상태
권과방지장치,과부하방지장치,제동장치,비상정지장치
밀폐공간(폐수처리조,선박밸러스트탱크내부,저장탱크내부)보호구 및 비상시 피난용구 = 송공산 / 섬안구도
보호구: 송기마스크 , 공기호흡기 , 산소호흡기
피난용구: 섬유로프, , 안전대 , 구명밧줄 , 도르래
별도의 표지판이 없는 배전반에서 맨손으로 휴대용연삭기로 작업중 감전사고 발생 위험요인 = 절통누
절연용보호구 미착용
"통전중" 표지판 미설치
누전차단기 미작동
거푸집해체 작업 시 준수사항 = 해비재버
해당작업을하는구역에는 관계근로자가 아닌 사람 출입금지
비,눈 그밖의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쁜 경우에는 작업중지
재료,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내리는경우에는 근로자로 하여금 달줄,달포대 등을 사용
버팀목 설치하고 거푸집동바리등을 인양장비에 매단 후 작업
가스를 공급하는 배관을 해체하거나 부착하는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주의 조치 = 배해근
배관을 해체하거나 부착하는장소에 해당가스가 들어오지않도록 차단
해당작업을하는장소는 적정공기상태가 유지되도록 환기
근로자에게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를 지급하여 착용하도록함
파괴해머를 이용하여 보도블럭 옆 인도에서 작업에서 작업자 얼굴을 강조 귀마개,보안경,방진마스크 미착용 위험요인 = 귀보방
귀마개 미착용
보안경 미착용
방진마스크 미착용
교류아크용접기 자동전격방지기 종류 = 외내LH
외장형 내장형 L형 H형
터널굴착공사에서 사용되는 흙막이지보공 점검사항 = 부부침버
부재의 손상,부식,변형,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부재의 접속부,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침하의정도
버팀대의 긴압의 정도
변압기가 활선인지 아닌지 확인이 가능한 방법 = 검활테
검전기로 확인
활선경보기로 확인
테스터기로 확인
이동식사다리 위에서 고온배관의 플랜지볼트를 조이는 작업 도중 추락했을때 위험요인 = 안보방불
안전대 미착용
보안경 미착용
방열장갑 미착용
불안정한 작업발판
방독마스크 성능시험 종류 = 시불안안음배
시야시험
불연성시험
안면부 흡기저항 시험
안면부 배기저항 시험
음성전달판 시험
배기밸브 작동 시험
동력식수동대패기 = 날접촉예방장치 / 가동식,고정식
철길 가운데 기름통 등 놓여있고 안전모를 쓰지않은 작업자가 기차가 접근하는지모르고 재해 발생 = 작감경주
작업중 잡담금지
감시인 미배치
경보장치설치
주변 정리정돈
각 장치의 방호장치
-컨베이어: 덮개,울,건널다리,이탈방지장치
-선반: 덮개,울,가드
-휴대용연삭기: 덮개
인화성물질 취급 및 저장소에서 작업자가 옷을 벗는 도중 폭발사고 발생 발화원의형태 및 종류 = 정전기 / 마박
정전기
마찰대전(신발 바닥 사이)
박리대전(옷벗을때)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을 사용하는 작업시 작업을 하도록 하여야 하는 작업계획서의 내용 = 해차
해당작업에 따른 추락,낙하,전도,협착 붕괴 등의 위험예방대책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의 운행경로 및 작업방법
프레스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클방프전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방호장치의 기능
프레스의금형 및 고정볼트상태
전단기의칼날 및 테이블의상태
맨얼굴로 목장갑을 끼고있는 작업자가 호스가 뽑혀 산소가 새어나오고 불꼿이 튀는 상황 위험요인 =산산용용
산소통을 눕혀 위험
산소호스를 잡아당겨 위험
용접용보안면 미착용
용접용장갑 미착용
교량위에서 작업하다가 아래에있는 그물에 작업자가 추락할때 필요한 안전용품명칭 및 설치높이기준 = 추락방호망 / 10m 이내
건설장비를 이용하여 해체작업 하는 모습 해체장비명칭 및 재해예방대책 = 압쇄기 / 작해울감
작업반경 내 관계자 외 출입금지
해체작업에 대한 안전교육 실시
울타리 설치
감시인 배치
작업자들의 머리 위를 통과한 후 흔들어서 파지를 떨어뜨리는 작업 위험요인 = 안컨화
안전모미착용
컨베이어 위에서 작업
화물을 작업자 머리위로 통과
습윤장소에서 교류아크용접기에 부착하여야 하는 안전장치 = 자누
자동전격방지기
누전차단기
이동식사다리의 설치 사용기준 = 길다벽
길이가 6m를 초과하면안된다
다리의벌림은 벽높이의 1/4정도가 적당하다
벽면상부로부터 최소한 60cm 이상의 연장길이가 있어야한다
수소의특성 = 공가
공기보다 가벼움
가연성기체
가스집합용접장치의 배관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 = 플주
플랜지,밸브,콕 등의 접합부에는 개스킷을 사용하고 접합면을 상호 밀착시키는 조치를 할것
주관 및 분기관에는 안전기를 설치할것, 이 경우 하나의 취관에 2개 이상의 안전기를 설치한다
낙하물방지망 또는 방호선반 빈칸 = 10m , 2m , 20~30도
충전전로에서의 전기작업 중 조치사항 = 근로자:절연용보호구 장소=절연용방호구
터널굴착 장약작업 시 준수사항 = 장약전
장진물에는 중이,솜 등을 사용하지않을것
약포를 발파공 내에서 강하게 압박하지않을것
전기괴관을 사용할때는 전선,모터 등에 접근하지않을것
용광로 작업자를 보호할수있는 신체부위별 작업복 = 손발신얼
손:방열장갑
발:방열장화
신발:방열복
얼굴:방열두건 또는 보안면
내부에 설치한 건축물에 대하여 수증기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사업주의 조치사항 = 바지
바닥은 물이 고이지 아니하는 구조로할것
지붕,벽,창 등은 빗물이 세어들지 아니하는 구조로할것
크레인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권주와
권과방지장치,브레이크,클러치 및 경보장치의 기능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가강재에 물을 뿌리면서 연마작업을 하고있고 푸른색전류가 작업자 손 주변으로 나가고있는장면과 물기가 많은 바닥에 방치된 접속부를 보여준 감전사고예방을 위한 안전대책 = 누습통
- 누전차단기 설치
- 습윤장소에서 충분한 절연효과가 있는 이동전선 사용
- 통로바닥에 전선을 설치하여 사용하지않을것
캡모자를 착용한 작업자가 기계장비 및 주변을 에어건으로 청소하다가 눈을 감싸고 아파하는 장면의 보호구 = 보방귀
- 보안경,방진마스크,귀마개
아크용접작업을 하다가 모재 옆에 작업대 위 어질러진 잡다한 물건들에 불티가 퇴는 모습의 불안전한요인 = 소불환
-소화기구비치 미흡
-불티 등 비산방지조치 미흡
-환기 등 조치 미흡
6명 가량의 작업자들이 터널내부에서 굴착토를 운반하던 도중 분진이 날리는 모습의 위험요인 = 분배살방
-분진이많음
-배기장치 미설치
-살수장치 미설치
-방진마스크 미착용
방열복 내열원단의 시험성능기준
난연성: 2초 미만
탄화길이: 102mm 이내
표면과 이면의 절연저항: 1m옴 이상
밀폐공간에서 작업 시 특별교육내용 = 산사보작
- 산소농도측정 및 작업환경에 관한 사항
- 사고시의 응급처치 및 비상시 구출에 관한 사항
- 보호구착용 및 사용방법에 관한 사항
- 작업내용,안전작업방법 및 절차에 관한 사항
교량 위에서 한명이 추락하는 장면에서 추락재해와 낙하재해 방지시설 = 추안작 / 낙수방
추락재해방지시설
-추락방호망
-안전난간
-작업발판
낙하재해방지시설
-낙하물방지망
-수직보호망
-방호선반
작업시작 전 공기압축실 점검사항 = 윤언압회드공
-윤활유의상태
-언로드밸브의 기능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드레인밸브의 조작 및 배수
-공기저장 압력용기의 외관상태
와이어로프의 사용금지 기준 = 이꼬심열지와
-이음매가있는것
-꼬인것
-심하게 변형되거나 부식된것
-열과 전기충격에 의해 손상된것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한것
-와이어로프의 한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인것
고소작업대 위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준수사항 = 작용
작업자를 태우고 고소작업대 이동금지
용접용보안면 등 용접용보호구 착용
추락방호망 설치기준 빈칸 = 10m / 수평 / 12%
-수직거리:10m
-추락방호망:수평
-망의처짐길이:12%
둥근톱기계작업의 위험요인과 방호장치 = 작방 / 톱반
위험요인
-작업에 집중하지않음
-방호장치 미설치
방호장치
-톱날접촉방지장치
-반발예방장치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특수화학설비에 설치해야 하는 장치 = 자긴예
-자동경보장치
-긴급차단장치
-예비동력원
보일러의 압력방출장치 빈칸 = 최고사용압력 / 1.05배
아크용접작업 시 착용하여야 하는 보호구 = 용보장두앞자
-용접용 보안면
-용접용 장갑
-용접용 두건
-용접용 앞치마
-용접용 자켓
이동식크레인 방호장치 문제 = 권 / 훅 / 아
-동력차단하고 작동을 정지시키는 장치: 권과방지장치
-훅에서 와이어로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장치: 훅 해지장치
-전도사고를 방지하기위하여 모멘트에 대하여 지탱할수있는장치: 아웃트리거
지게차 작업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경우 = 지일작
-지게차 운전자 변경할때
-일상작업은 최초 작업개시전
작업장소와 화물의상태가 변경되었을때
밀폐공간작업 프로그램의 내용 = 안사밀밀
- 안전보건교육 및 훈련
- 사업장 내 밀폐공간의 위치파악 및 관리방안
- 밀폐공간작업시 사전확인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확인절차
- 밀폐공간 내 질식,중독 등을 일으킬수있는 유해위험요인의 파악 및 관리파악
콘크리트 양생시 열풍기 작업 전 안전수칙 = 전적주가
전원연결 전 스위치상태 확인
적정온도 세팅후 작동여부확인
주변 불티방지포로 방호조치
가동 중 화기감시자 작업구역 수시 확인
전주활선작업 중 감전방지를 위해 착용하여야 할 절연보호구 = 절연장갑화모
-절연장갑
-절연장화
-절연용 안전모
중량물 취급작업 시 00등을 고려할때 휴식시간 제공하여야할때 00에 들어갈 내용 = 운운물취
-운반거리
-운반속도
-물품중량
-취급빈도
적재함을 들어올릴때 받쳐주는 방호장치 = 안전지지대 , 안전블록
말비계 조립시 사업주의 준수사항 = 75도 , 보조부재
브레이크 라이닝 세척 작업 시 위험요인 = 보방훅작
-보안경 미착용
-방독마스크 미착용
-훅의 해지장치 미설치
-작업 중 흡연
항타기,항발기 근로자에게 해당 충전작업에 적절한 빈칸 = 절연용보호구 / 절연용방호구 / 300cm
-절연용보호구
-절연용방호구
-접근한계거리:300cm
건설용리프트 방호장치 = 권과제비완파
-권과방지장치
-과부하방지장치
-제동장치
-비상정지장치
-완충스프링
-파이널리미트스위치
크레인작업 중 로프가 반쯤잘리고 보조로프가 설치되지않은 재해원인 = 위로유
위험반경 내 신호작업
로프상태불량
유도로프 미설치
H용 방독마스크
-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격리식전면형
-암모니아가스
-큐프라마이트
-0.05%이하
-40분이상
C용 방독마스크
-유기화합물용 방독마스크
-활성탄
-시디이(시클로헥산,디메틸에테르,이소부탄)
특수화학설비 내부의 이상상태 파악을 위한 장치 = 온유압자
온도계 유량계 압력계 자동경보장치
인쇄용롤러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 전방체 / 전인똑
위험요인
-전원을 차단하지않은상태에서 청소하여 손이말려들어감
-방호장치 미설치로 인해 손이말려들어감
-체중을 실어 닦고있어 손이말려들어감
안전대책
-전원을 차단하고 청소
-인터록 등 방호장치 설치
-똑바로 서서 작업
컨베이어 벨트 작업 시 안전조치사항 = 작장비야
작업시작 전 전원차단
장갑을 벗고 작업
비상정지장치 설치
야간에 점검하지않음
작업발판
-작업발판의 폭의 기준: 40CM 이상
-발판 틈새의 기준: 3CM 이하
인화성물질 및 저장소에서 작업자가 옷을 벗는 도중 폭발사고 발생 = UVCE
-증기운폭발(UVCE)
-정의: 대기중 확산되어있는 증기운이 어떤 점화원에 의하여 급격히 폭발하는 현상
화물의 떨어짐.넘어짐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사전점검 또는 조치사항 = 작와훅유
1.작업반경 내 관계자 외 출입금지
2.와이어로프의 안전상태 점검
3.훅의 해지장치 점검
4.유도로프 사용
스팀배관
1.이상온도 노출,접촉에 의한 화상
2.사고요인=보배
-보안경미착용
-배관 내 잔압을 제거하지않고 점검
버스정비 중 작업자의 소매가 회전하는 샤프트에 말려들어가는 사고
1.회전말림점
2.정작기
-정비중임을 나타내는 표지판 미설치 -> 설치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인 미배치 -> 배치
-기동장치에 잠금장치를하지않고 열쇠를 별도 관리하지않음 ->잠금장치하고 열쇠 별도 관리
덴탈마스크를 착용한 석면분진폭로 위험성에 노출되어 직업성질환 발생 우려인 사고
1.방진마스크를 착용하지않았으므로, 석면분진이 마스크를 통해 흡입될수있다
2.폐석악(폐암,석면폐증,악성중피종)
피부자극성 및 부식성 관리대상 유해물질 보호구 = 불불불보방
-불침투성 보호장갑
-불침투성 보호장화
-불침투성 보호복
-보호복
-방독마스크
영상표시단말기(VDT) 개선사항,위험요인,얻직업병 = 허모키 / 반장장 / 어손요시
1.허리를 등받이 깊숙이 지지하여 앉는다
2.모니터를 보기편한위치에 놓는다
3.키보드를 조작하기편한위치에 놓는다
4.반복작업에 의한 어깨 및 손목통증
5.장시간 앉아있는 작업자세에 의한 요통위험
6.장시간 화면집중에 의한 시력저하위험
7.직업병:어깨결림,손목통증,요통,시력저하
김치제조공장 슬라이스기계 손가락 절단
1.절단점
2.정의: 회전하는 운동부분자체의 위험에서 초래되는 위험점
3.위험요인
-전원미차단으로 점검하여 위험
-인터록 등 방호장치 미설치로 인한 위험
4.필요한방호장치
-인터록
-덮개
-울
마그네틱크레인 위험요인 = 안유작신
1.안전모 미착용
2.유도로프 미사용
3.작동스위치 전선이벗겨져 감전위험
4.신호수 미배치
전류전하에 의한 감전사고 재해예방조치 = 정절관
1.정전작업 실시
2.절연보호구 착용
3.관리감독자는 작업에 대한 안전교육 시행
교류아크용잡작업 측면의 위험요인 및 유해광선의 종류
1.작업자 측면의 위험요인
-양손동시 사용으로 작업자세 불안정
2.작업장 측면의 위험요인
-주변에 인화성물질이 산재되어 화재위험존재
3.유해광선의종류:자외선
고무제안전화 작업장의 종류 및 안전화의 분류 = 일탄일내
1.일반작업장
2.탄화수소류의 윤활유 등을 취급하는 작ㅇ버장
3.일반용
4.내유용
화약장전 위험요인 및 준수사항 = 강봉 / 규정된 장전봉
1.위험요인
-강봉으로 화약장전 시 충격,마찰 등에 의하여 폭발위험존재
2.준수사항
-규정된 장전봉으로 장전 실시
방진마스크의 구비조건 = 사중시여
사용적이 적을것
중량이 가벼울것
시야가 넓을것
여과효율이 좋을것
휴대용연삭기
1.방호장치
-덮개
2.노출각도
-180도 이내
3.설치각도
-180도 이상
화물자동차 및 지게차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제하바전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바퀴의 이상 유무
전조등,후미등,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적정공기: 18% ~ 23.5%
탄산가스: 1.5%
일산화탄소: 30ppm
황화수소: 10ppm
하단가공재간격=8mm이하
하단가공재최대간격=8mm
하단테이블높이=25mm이하
하단테이블최대높이=25mm
방열상의=3.0kg 이하
방열하의=2.0kg 이하
방열일체복=4.3kg 이하
방열장갑=0.5kg 이하
방열두건=2.0kg 이하
● 건설용리프트 방호장치=권과제비완
※권과방지장치,과부하방지장치,제동장치,비상정지장치,완충스프링
● 근로자에게 해당 충전작업에 적절한 (1) 착용시키고, 충전전로의 전압에 적합한 (2)를 설치하고 충전부로부터 접근한계거리를 (3)cm으로 한다.
※(1):절연용 보호구 (2):절연용 방호구 (3):300
● 브레이크 라이닝 세척 작업시 위험요인 4가지
※보안경미착용
※방독마스크미착용
※혹의 해지장치 미설치
※작업중 흡연
● 말비계 조립시 준수사항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 75도
※지주부재와 지주부재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
● 적재함을 들어올릴때 받쳐주는 방호장치=안전지블
※안전지지대
※안전블록
● 중량물 취급작업시 00 등을 고려하여 작업자의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운운물취
※운반속도
※운반거리
※물품의중량
※취급빈도
● 활선작업 중 감전방지를 위해 착용하여야 할 절연보호구
※절연장갑
※절연화
※절연용 안전모
● 콘크리트 양생 시 열풍기 안전수칙=전적주가화
※전원연결전 스위치상태확인
※적정온도 세팅후 작동여부확인
※주변 불티방지포로 방호조치
※가동중 화기감시자 작업구역 수시확인
※화기주변 인화물질 제거확인
● 밀폐공간작업 프로그램의 내용=안사밀밀
※안전보건교육 및 훈련
※사업장 내 밀폐공간의 위치파악 및 관리방안
※밀폐공간작업시 사전확인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확인절차
※밀폐공간 내 질식,중독 등을 일으킬수있는 유해위험요인의 파악 및 관리방안
● 지게차 작업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경우=지일작작
※지게차운저자가 변경되었을때
※일상작업은 최초 작업개시전
※작업장 내 구조,설비,작업방법이 변경되었을때
※작업장소 또는 화물의상태가 변경되었을때
●권과를 방지하기 위하여=권과방지장치
●훅에서 와이어로프가 이탈하는것=훅해지장치
●전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아웃트리거
● 아크용접작업 시 착용하여야 하는 보호구=용접용 보장두앞자
※용접용보안면
※용접용장갑
※용접용두건
※용접용앞치마
※용접용자켓
● 보일러의 압력방출장치
※최고사용압력,1.05배
●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해야 할 장치=자긴예
※자동경보장치
※긴급차단장치
※예비동력원
● 둥근톱기계작업의 위험요인과 방호장치
※위험요인:작업에집중하지않음,방호장치미설치
※방호장치:톱날접촉예방장치,반발예방장치
● 추락방호망 설치기준
※작업면으로부터 망의 설치지점까지의 수직거리=10m
※추락방호망설치=수평
※망의 처짐은 짧은 변길이=12%이상
● 고소작업대 위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준수사항=작용
※작업자를 태우고 고소작업대를 이동하지말것
※용접용보안면 등 용접용보호구를 착용할것
● 와이어로프의 사용금지 기준=이꼬심열지와
※이음매가있는것
※꼬인것
※심하게 변형되거나 부식된것
※열과 전기충격에 의해 손상된것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것
※와이어로프의 한꼬임에서 끊어진 수선의 수가 10%를 초과하는것
● 공기압축실 점검사항=윤언압회드공
※윤활유의상태
※언로드밸브의기능
※압력방출장치의기능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드레인밸브의 조작 및 배수
※공기저장 압력용기의 외관상태
● 추락재해방지시설과낙하재해 방지시설
※추락재해방지시설:추안작/추락방호망,안전난간,작업발판
※낙하재해방지시설:낙수방/낙하물방지망,수직보호망,방호선반
● 밀폐공간에서 용접작업시 특별교육내용=산사보작장
※산소농도측정 및 작업환경에 관한 사항
※사고시의 응급처치 및 비상시 구출에 관한 사항
※보호구착용 및 사용방법에 관한 사항
※작업내용,안전작업방법 및 절차에 관한 사항
※장비,설비 및 시설 등의 안전점검에 관한 사항
● 잔염 및 잔진시간=2초
● 탄화길이=102mm이내
● 표면과 이면의 절연저항=1M옴
● 터널작업 시 근로자에 대한 위험요인=분배살방
※분진이많음
※배기장치 미설치
※살수장치 미설치
※방진마스크 미착용
● 용접작업 시 불안전한 요인=소불환
※소화기구비치 미흡
※불티 등 비산방지조치 미흡
※환기 등 조치 미흡
● 캡모자를 착용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구=보방귀
※보안경
※방진마스크
※귀마개
● 감전사고예방을 위한 안전대책=누습통
※누전차단기 설치
※습윤장소에서 충분한 절연효과가 있는 이동전선 사용
※통로바닥에 전선을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을것
● 크레인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권주와
※권과방지장치,브레이크,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와이어로프가 통하고있는곳의 상태
● 수증기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사업주의 조치사항=바지
※바닥은 물이 고이지 아니하는 구조로할것
※지붕,벽,창 등은 빗물이 새어들지 아니하는 구조로할것
● 작업복을 보호할수있는 신체부위별 보호복
※손:방열장갑
※발:방열장화
※신체:방열복
※얼굴:방열두건 또는 보안면
● 터널굴착 장약작업시 준수사항=장약전포
※장진물에는 종이,솜 등을 사용하지않을것
※약포를 발파공내에서 강하게 압착하지않을것
※전기뇌관을 사용할때에는 전선,모터 등에 접근하지않도록할것
※포장이없는 화약이나 폭약을 장진할떄에는 화기의 사용을 금하고 근접한곳에서 흡연하는일이 없도록할것
● 충전전로에서의 전기작업중 조치사항
※충전전로를 취급하는 근로자에게 그 작업에 적합한=절연용보호구
※충전전로에 근접한장소에서 전기작업을하는경우에는=절연용방호구
● 낙하물 방지망 또는 방호선반 설치시의 준수사항
※설치높이:10M
※내민길이:2M
※수평면과의각도:20도~30도
● 가스집합용접장치의 배관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주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플주
※플랜지,밸브,콕 등의 접합부에는 개스킷을 사용하고 접합면을 상호밀착시키는 등의 조치를할것
※주관 및 분기관에는 안전기를 설치할것.이 경우 하나의 취관에 2개 이상의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 주황색 수소의 특성=공가
※공기보다가벼움
※가연성기체
● 이동식사다리의 설치사용기준=길다벽
※길이가 6M를 초과해서는안된다
※다리의벌림은 벽높이의 1/4정도가 적당하다
※벽면상부로부터 최소한 60CM 이상의 연장길이가 있어야한다
● 습윤장소에서 교류아크용접기에 부착하여야 하는 안전장치=자누
※자동잔격방지기
※누전차단기
● 파지를 압축하는 작업장의 위험요인=안컨화
※안전모 미착용
※컨베이어 위에서 작업
※화물을 작업자 머리위로 통과
● 영상에서 보여주는 해체 장비 명칭:압쇄기
● 재해예방대책:울타리설치, 감시인배치, 해체작업에대한안전교육실시, 작업반경내관계근로자외출입금지
● 해당 상황에서 필요한 안전용품 명칭:추락방호망
● (1)의 설치높이기준:10M이내
● 프레스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클방프전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방호장치의 기능
※프레스의금형 및 고정볼트상태
※전단기의칼날 및 테이블의상태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작업계획서의 내용=해차
※해당작업에따른 추락,낙하,전도,협착 및 붕괴 등의 위험예방대책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의 운행경로 및 작업방법
● 작업자가 옷을 벗는 도중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발화원의형태=정전기
※(1)의 종류=마찰대전(신발과바닥사이),박리대전(옷을벗을때)
●컨베이어=비건덮울/비상정지장치,건널다리,덮개,울
●선반=덮울가/덮개,울,가드
● 휴대용연삭기=덮개
● 철길 가운데 작업자가 기차가 접근하는지 모르다가 재해가 발생하였다의 안전대책=작감경주작
※작업중 잡담금지
※감시인배치
※경보장치설치
※주변정리정돈
※작업자들에게 사전교육실시
● 동력식 수동대패기에 대한 방호장치명 및 방호장치의종류
※방호장치명=날접촉예방장치
※방호장치의종류=고정식,가드식
● 방독마스크의 성능시험 종류=시불안안
※시야시험※불연성시험※안면부배기저항시험※안면부흡기저항시험
● 목장갑을 착용한 작업자가 볼트를 조이는 작업을 하던 도중 중심을 못잡고 추락하였다의 위험요인=안보방불
※안전대 미착용
※보안경 미착용
※방열장갑 미착용
※불안정한 작업발판
● 변압기가 활선인지 아닌지 확인이 가능한 방법=검활테
※검전기로 확인
※활선경보기로 확인
※테스터기로 확인
● 안전인증대상 방음용 귀덮개(EM)의 차음성능 기준
※1,000hz=25dB,2,000hz=30dB,4,000hz=35dB
● 흙막이지보공 점검사항=부부침버
※부재의 손상,부식,변형,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상태
※부재의 접속부,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침하의정도
※버팀대의 긴압의정도
● AE형 및 ABE형=9.5MM이하
● AB형=11.1MM이하
● 충격흡수성의 최고전달충격력=4450N 초과X
●교류아크용접기 자동전격방지기종류=외내LH
※외장형※내장형※L형(저저항시동형)※H형(고저항시동형)
● 작업자가 파괴해머를 이용하여 보도블럭 옆 인도에서 작업을하고있다의 위험요소=방보귀
※방진마스크 미착용
※보안경 미착용
※귀마개 미착용
● 설치.수리.점검 또는 해체 작업 중지 하여야 하는 순산풍속=10m/s
● 운전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순간풍속=15m/s
● 가설도로 설치기준
※경사는 (30)도 이하일것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할것
● 건설용리프트 방호장치=과완비출방3
※과부하방지장치
※완충스프링
※비상정지장치
※출입문연동장치
※방호울출입문연동장치
※3상 전원차단장치
● 가스를 공급하는 배관을 해체하거나 부착하는작업을 하는경우,사업주의조치=배해근
※배관을해체하거나 부착하는 작업장소에 해당가스가 들어오지않도록 차단
※해당 작업을하는장소는 적정공기상태가 유지되도록 환기
※근로자에게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를 지급하여 착용하도록함
● 거푸집 해체작업 시 준수사항=해비재버
※해당작업을하는구역에는 관계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금지
※비,눈 그밖의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나쁜경우에는 그 작업을 중지
※재료,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내리는경우에는 근로자로 하여금 달줄,달포대 등을 사용
※버팀목을설치하고 거푸집동바리등을 인양장비에 매단후에 작업
● 휴대형연삭기 위험요인=절통누
※절연용보호구 미착용
※"통전중"표지판 미설치
※누전차단기 미작동
● 보안면의 채색 투시부의 차광도의 투과율[%]=밝중어
※밝음:50+-7%
※중간밝기:23+-4%
※어두움:14+-4%
●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안전수칙=콘콘설당
※콘크리트를 타설하는경우에는 편심이 발생하지않도록 골고루 분산하여 타설할것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거푸집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충분한 보강조치를할것
※설계의도의 콘크리트 양생기준을 준수하여 거푸집동바리등을 해체할것
※당일의작업을 시작하기전에 거푸집동바리등의 변형,변위 및 지반의침하유무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있으면보수할것
● 터널 굴착공사에서 사용되는 터널지보공 점검사항=부부부기
※부재의 손상,부식,변형,변위 및 탈락의유무
※부재의 접속부 또는 교차부의 상태
※부재의 긴압의 정도
※기둥침하의 유무와상태
● 이동식 비계의 설치준수사항=승작비작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설치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250kg을 초과하지않도록할것
※비계의최상부에서작업하는경우 안전난간 설치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지않도록할것
● 이동식 비계의 위험요인=승안작
※ 승강용사다리를 견고하게 설치하지않음
※ 안전난간 미설치
※ 작업발판을 수평으로 유지하지않음
● 특수화학설비 내부의 이상상태 계측장치=온유압
※온도계※유량계※압력계
●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계획서 포함사항=추낙전협붕
※추락위험을 예방할수있는 안전대책
※낙하위험을 예방할수있는 안전대책
※전도위험을 예방할수있는 안전대책
※협착위험을 예방할수있는 안전대책
※붕괴위험을 예방할수있는 안전대책
● "A-1"이라고 쓰여있는 기계의 장치 명칭과 구조
※명칭: 광전자식 방호장치
※구조: 투광부,수광부,컨트롤부분으로 구성된것으로서 신체의일부가 광선을차단하면 기계를 급정지시키는 방호장치
● 섬유공장에서 캡모자와 목장갑을 착용한 작업자=귀보방
※귀마개※보안경※방진마스크
● 고소작업대 이동 시 준수사항=작이작
※작업대를 가장 낮게내릴것
※이동통로의 요철상태 또는 장애물의 유무등확인
※작업대를올린상태에서 작업자를태우고 이동하지말것
● 고소작업대 안전작업 준수사항=안안관작
※안전모착용
※안전대착용
※관계근로자 외 출입금지
※작업대 정격하중을 초과하여 물건을 싣거나 탑승금지
● 안전대의 명칭=죔줄
● 각 부의 명칭=카라비너,훅
● 손조작식=1.8M 이내
● 복부조작식=0.8M 이상 1.1M 이내
● 무릎조작식=0.4M 이상 0.6M 이내
● 충전전로에서 전기작업을 하거나 그 부근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의 안전대책=절절활
※절연용보호구착용
※절연용방호구설치
※활선작업용기구 및 장치 사용
● 철골골사 작업의 중지 기준=풍강강
※풍속:10m/s 이상인 경우
※강우량:1mm/hr 이상인 경우
※강설량:1cm/hr 이상인 경우
● 용접용보안면의 등급을 나누는 기준
※차광도번호
● 용접용보안면의 투과율의종류=자시적
※자외선최대분광 투과율
※시감 투과율
※적외선 투과율
● 변전실에 대한 안전대책=관잠전전
※변전실 관계자외출입금지 표지판설치
※변전실 잠금장치설치
※변전실 전원을차단한후 공을제거
※변전실 전기위험에 대한 안전교육실시
● 방열복의 질량에 대한 사항
※방열상의=3.0이하
※방열하의=2.0이하
※방열일체복=4.3이하
※방열장갑=0.5이하
※방열두건=2.0이하
● 하단과 가공재 사이의 간격= 8mm 이하
● 하단과 테이블 사이의 높이= 25mm 이하
● 하단과 가공재 사이의 최대간격= 8mm
● 하단과 테이블 사이의 최대높이= 25mm
● 밀폐공간의 적정공기수준
※"적정공기"란 산소농도의 범위=18~23.5
※탄산가스의농도=1.5
※일산화탄소의농도=30
※황화수소의농도=10
● 안전모의 각 세부명칭
※1번=모체
※2번=머리받침끈
※3번=머리고정대
※4번=머리받침고리
※5번=턱끈
※6번=챙
※7번=충격흡수재
● 인화성물질의 증기.가연성가스 또는 분진이 폭발 또는 화재가 발생할우려가있는 경우의 예방대책=실분가작
※실내환기
※분진을미리제거
※가스검지 및 경보장치설치
※작업자에게 인화성물질에 대한 안전교육실시
● 작업자와 해체장비 사이의 이격거리= 4m이상
● 프레스로 철판에 구멍을 뚫는 작업에서 위험예지포인트=주보이작
※주변 정리정돈불량으로 넘어져 다칠수있다
※보안경미착용으로 인한 이물질이 눈에 들어갈수있다
※이물질을 손으로제거하려다 손을 다칠수있다
※작업자실수로 페달을밟아 손을 다칠수있다
● 이동식크레인 작업의 위험요인=줄와혹유
※줄걸이방법불량(2줄걸이로해야함)
※와이어로프 안정상태 미점검
※혹의 해지장치 미설치
※유도로프 미사용
● 이동식크레인 운전자가 준수하여야할 사항=작작작
※작업시작전 일정한신호방법을 정하고 신호수의신호에따라작업
※작업중 운전석이탈을금지
※작업종료후 이동식크레인 동력을차단
● 사출성형기의 이물질제거 시 재해발생 방지대책=작작이
※작업전 전원차단한후 이물질제거
※작업시 절연용보호구 착용
※이물질제거시 수공구 사용
● 크레인으로 배관을 인양하던 도중에 발생한 동종 재해 인양시 준수사항=작와훅유
※작업반경내 관계근로자외 출입금지
※와이어로프의 안전상태를점검
※훅의 해지장치점검
※유도로프를 사용
● 제일 높은 해체물의 높이가 7m일때 해체장비와 해체물 사이의 안전거리는?
※안전거리=0.5x해체물높이=0.5x7=3.5m이상
● 감전사고에 대한 재해원인 및 안전대책
※재해원인=절안작
※절연용보호구 미착용
※안전확인을 소홀히한다
※작업자간 신호전달이 잘이루어지지않음
※안전대책=절안작
※절연용보호구 착용
※안전확인을 확실히한다
※작업자간 신호전달을 확실히한다
● 전주작업에서 착용하여야 할 안전대의 종류=벨안
※벨트식 ※안전그네식
● 추락사고에 대한 작업발판의폭기준 및 재해원인
※작업발판 폭의기준= 40cm이상
※재해원인=추안안/추락방호망미설치,안전난간미설치,안전대미착용
● 기계의 각 작동부분이 정상조건이 아닌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방호장치의 이름은?
※인터록
● 임시배전반에서 컨트롤박스문에 끼어 감전재해가 발생하였다의 위험요인=작문
※작업자의절연장갑 미착용
※문에 잠금장치 및 통전금지표찰 미설치
● 안전모의 모체,착장체 및 충격흡수재를 포함한 질량 = 440g
●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모의 기호 = AE형
● 내전압성 = 7000V
● 방열복 내열 원단의 시험성능 기준=내내난절인
※내열성시험
※내한성시험
※난연성시험
※절연저항시험
※인장강도시험
● 컨베이어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원이비원
※원동기 및 풀리 기능의 이상 유무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원동기,회전축,기어 및 풀리 등의 덮개 또는 울 등의 이상 유무
● 퍼지작업에 대한 목적
※가연성가스 및 지연성가스의 경우= 화재폭발방지 및 산소결핍에 의한 질식사고방지
※독성가스의 경우=중독사고방지
※불활성가스의 경우=산소결핍에 의한 질식사고방지
● 섬유공장에서 실을 감는 섬유기계가 돌아가고 작업자의 손과 몸이 회전체에 끼이는 재해가 발생하였다 핵심위험요인=기장기
※기계의전원을 차단하지않고 점검하여 말려들어갈위험에 노출됨
※장갑을착용한상태에서 점검하여 말려들어갈위험에 노출됨
※기계에 인터록장치 미설치로 인한 위험에 노출됨
● 전기형강작업
※위험요인=작작절
※작업중흡연,작업발판불안정,절연보호구미착용
※정전작업전 조치사항=전검단
※전력케이블.전력콘덴서 등의 전류전하방전
※검전기로 개로된전로의 충전여부확인
※단락접지기구로 단락접지
※정전작업중 조치사항=작개단
※작업지휘자에 의한 작업지휘
※개폐기의관리
※단락접지의 수시확인
※전전작업종료후 조치사항=시단작
※시건장치 또는 표지판철거
※단락접지기구 철거
※작업자에대한 위험이없는것을 최종확인
● 프레스기에 금형 교체작업 점검사항=펀펀다다생
※펀치와 볼스터면의 평행도
※펀치와 다이의 평행도
※다이와 볼스터의 평행도
※다이홀더와 펀치의 직각도
※생크홀과 펀치의 직각도
● 선박 밸러스트 탱크 내부 작업에서 필요한 비상시 피난용구=송공사섬
※송기마스크※공기호흡기※사다리※섬유로프
● 사포의 재해요인 및 위험점
※재해요인=회작기
※회전물에 손으로 지지하고있기때문에 작업복과 손이말려들어갈위험
※작업에 집중하지않아 작업복과 손이말려들어갈위험
※기계위에 손을 올려놓고있어 손이말려들어갈위험
※위험점=회전말림점
● 작업자가 A라고 쓰여진 회색인 정화통을 끼운 방독마스크를 착용하고있다
※종류= 할로겐용방독마스크
※형식= 격리식전면형
※시험가스종류= 염소가스
※정화통흡수제=소다라임,활성탄
● 화면은 작업자가 롤러기를 닦다가 손이 물려 들어가는것을 보여준다
※위험점=물림점
※위험점의 정의=2개의 회전체에서 물려 들어가는 위험점
※위험점의 발생조건=회전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맞물려 회전할것
● 이동식크레인 점검사항=권브와
※권과방지장치 및 그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브레이크,클러치 및 조정장치의 기능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곳,작업장소의 지반상태
● 가죽제안전화의 뒷굽 높이를 제외한 몸통높이에 따라 구분=단중장
※단화=113mm미만
※중단화=113mm이상
※장화=178mm이상
● 중량물 인양작업시 준수하여야 할 안전수칙=개관중
※개인보호구지급 및 작업자착용철저
※관계근로자외출입금지 설치
※중량물작업시 올바른 작업방법 준수철저
● 타워크레인 운전과 관련한 안전작업방법 미준수 사항=관신유훅
※관계근로자 외 출입금지하지않음
※신호수미배치
※유도로프미사용
※훅의해지장치미설치
● 작업자가 밀폐공간에서 콘센트에 발이 걸려 환기장치가 꺼지고 다른 내부 밀페작업자가 쓰러졌다의 핵심위험요소=송국감
※송기마스크,공기호흡기 등 보호구미착용
※국소배기장치 전원부에 잠금장치미설치
※감시인미배치
● 손으로 칩을 제거하려다가 드릴에 손이 다치는 재해가 발생하였다 위험요인=보수
※보안경을착용하지않고 입으로불어 칩을제거하고있어서 이물질이 눈에들어갈위험이있다
※수공구를사용하지않고 장갑을착용한손으로 칩을제거하다 손이다칠위험이있다
● 유해위험취급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유유실점환
※유해물질에대한 사전조사
※유해물질 발생원인차단
※실내환기
※점화원제거
※환경의정돈 및 청소
● LPG 누설감지경보기
※적절한설치위치= 바닥근처낮은곳에 설치
※경보설정값= 폭발하한계의 25% 이하
● 퍼지작업의 종류=사스진압
※사이펀퍼지※스위프퍼지※진공퍼지※압력퍼지
● 전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이 착용하고 있는 안전대의 종류 및 용도
※종류=벨트식
※용도=U자걸이전용
● 작업자가 터널공사 중 다이너마이트를 설치하고있다 방지 필요 조치사항=터록부
※터널지보공설치
※록볼트설치
※부석제거
● 박공지붕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위험요인=추안안
※추락방호망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안전난간 미설치
※안전대책=추안안
※추락방호망 설치
※안전대 착용
※안전난간 설치
● 20,000v의 전압이 흐르는 배전반
※재해형태=감전
※(1)의정의=외부에서 인가된전원에 의해 인체안으로 전류가통과되는것
※가해물=배전반(배전반에접촉되면),전류(배전반과거리가멀어지면)
● 작업자가 단무지공장에서 일하는 모습을보여준다
※사용전점검사항=누수절
※누전차단기설치 확인
※수중펌프외함의 접지상태점검
※절연저항측정 실시
※재해예방대책=누수전
※누전차단기설치
※수중펌프와 전선의 이음새부분작업전 확인
※전선은 수분의침투가 불가능한것을 사용
※전원부작업시 필요한 방호장치=누전차단기
※감전사고원인=사람이 수중에 있으므로 인체 피부저항이 1/25로 감소되어 쉽게 감전되었다.
●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에서 불안전한 행동 및 안전대책
※불안전한행동=장보방톱
※장갑착용
※보안경미착용
※방진마스크미착용
※톱날접촉예방장치 미설치
※안전대책=장보방톱
※장갑착용금지
※보안경착용
※방진마스크착용
※톱날접촉예방장치 설치
● 작업자가 자동차 부품 도금공정 중 세척하는 과정
※위험예지훈련=작세
※작업중흡연을금하자
※세척작업시 불침투성 보호장갑,보호장화를 착용하자
※예상되는 재해유형=폭발,화재
● 분리식 방진마스크
※특급 = 99.95% 이상
※1급 = 94% 이상
※2급 = 80% 이상
● 방음용 보호구(귀마개)
※종류=1종=EP-1=저음부터고음까지차음하는것
※종류=2종=EP-2=고음만을차음하는것
● 프레스에 설치하여 사용할수있는 유효방호장치=양게수손
※양수기동식※게이트가드식※수인식※손쳐내기식
● 이동식크레인
※방호장치=권과제비
※권과방지장치,과부하방지장치,제동장치,비상정지장치
※3년,2년,6개월
● 고압전선로 옆 항타기.항발기작업
※사고원인=절울이감
※절연방호구미설치
※울타리미설치
※이격거리미확보
※감시인미배치
※안전대책=절울이감
※절연방호구설치
※울타리설치
※이격거리확보
※감시인배치
● 작업자가 맨손으로 전동 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
※재해유형=감전
※재해원인=정절
※정전작업미실시
※절연보호구미착용
● 승강기 컨트롤 패널작업
※재해형태=감전
※가해물=MCC패널(MCC패널과접촉하면),전류(MCC패널과 거리가멀어지면)
※재해형태원인=전류전하에의한감전
※감전방지대책=절작작
※절연용보호구 착용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인배치
※작업자들에게 작업에대한 안전교육실시
● LPG저장소
※재해형태=폭발
※기인물=LPG
● 유해화학물질이 흡수되는 경로와 특별관리물질 게시사항
※흡수경로=호소피
※호흡기※소화기※피부
※게시사항=발생생
※발암성물질
※생식세포 변이원성물질
※생식독성물질
● 터널굴착공사 중에 사용되는 계측방법의 종류=내지천록
※내공변위 측정
※지중변위 측정
※천단침하 측정
※록볼트축력 측정
● 탁상용 연삭기 작업
※기인물=탁상용연삭기
※방호장치=칩비산방지판
※각도=15도~30도
● 프레스작업사고 방지 조치사항=작프이게
※작업전 전원차단한후 이물질제거
※프레스를 일시정지할때 페달을 U자형덮개씌움
※이물질제거시 수공구사용
※게이트가드식 안전장치 등 설치
●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설치장소 및 설치대상
※설치장소=물대임철(짧은것)
※물 등 도전성이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장소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
※철판,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
※설치대상=물대임철(긴것)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에서 사용하는 저압용 전기기계기구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철판,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 유기화합물 드럼통의 작업자의 눈,손,신체에 필요한 보호구
※눈=보안경
※손=불침투성 보호장갑
※신체=불침투성 보호복
● 보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가 고개를 숙이며 띠톱작업의 위험요인=장자자
※장갑을 착용하여 손이톱날에 끼일위험
※자재를꺼낼때 전원을차단하지않아위험
※자재를꺼낼때 수공구를사용하지않아위험
● 연구실에서 황산(H2SO4)으로 유리용기를 세척하는장면
※재해형태=유해위험물질의 노출,접촉
※재해형태의정의=유해위험물질의노출,접촉 또는 흡입하였거나 독성물질에 쏘이거나 물린 경우
※원인=안전장갑을사용하지않고 황산취급
● 작업자 2명이 승강기 개구부에서 작업하고있는 안전수칙=낙물작
※낙하물방지망설치
※물체인양시 도르래 등의 기구사용
※작업자는 안전모 등 보호구착용
● 가죽제안전화의 성능시험=내답압충부유리
※내답발성
※내압박성
※내충격성
※내부식성
※내유성
※박리저항
● 밀폐장소에서 그라인더 작업하는 작업
※위험요인=국환근
※국소배기장치 전원차단
※환기미실시
※근로자 송기마스크 미착용
※관리감독자의 직무=작환근
※작업을하는장소의 산소여부의 적절성을 작업시작전에 점검
※환기장치,측정장비 등 작업시작전에 점검
※근로자에게 송기마스크 등의 착용을 지도하고 착용상황을점검
● 산소결핍장소(밀폐장소)에서 안전수칙=작근관작
※작업시작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측정
※근로자를 입장시키거나 퇴장시킬때 인원점검
※관계자외출입금지 및 출입금지표지판을 보기쉬운곳에 설치
※작업장과 외부의 감시인간에 상시 연락을 할수있는 설비를 설치
● 크레인작업중 로프가 반쯤 잘리고,보조로프가 설치되지 않은것을 보여주는 장면에서 재해원인=위로유
※위험반경내 신호작업
※로프상태불량
※유도로프미설치
● 판자로 이어붙인 발판위에서 못을 망치로 제거하는 작업을 하다 사망한 장면
※재해원인=추안안
※추락방호망미설치
※안전난간미설치
※안전대미착용
※안전대책=추안안(반대)
※추락방호망설치
※안전난간설치
※안전대착용
● 전원이 꺼지지않은 카렌더기를 청소하던 도중 감전사고를 당했다의 재해원인
※절연보호구 미착용
※정전작업 미실시
● 양수기를 수리하는 장면의 위험요인=운회작
※운전중 수리작업
※회전기계작업중 장갑착용
※작업자가 작업에 집중하지않음
● 리프트 작업시작전 점검사항=방와
※방호장치,브레이크 및 클러치의 기능
※와이어로프가 통하고있는곳의 상태
● 방독마스크 H라고 쓰여진 녹색인 정화통을 끼운 방독마스크 착용 장면
※종류=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형식=격리식전면형
※시험가스종류=암모니아가스
※정화통흡수제=큐프라마이트
※누설률=0.05%이하
※중농도 방독마스크의 파과시간=40분이상
● 해체작업의 해체계획서 작성시 포함사항=사해해해해
※사업장 내 연락방법
※해체물의 처분계획
※해체작업용 기계기구등의 작업계획서
※해체작업용 화약류등의 사용계획서
※해체방법 및 해체순서도면
● 캡모자와 목장갑을 착용한 작업자가 교류 아크용접작업을 하고있는 장면
※기인물=교류아크용접기
※보호구=용접용보안면,절연장갑
● 특수화학설비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한 장치=온유압자
※온도계※유압계※압력계※자동경보장치
● 작업자가 C라고 쓰여진 갈색인 정화통을 끼운 방독마스크를 착용하고있는 장면
※종류=유기화합물용 방독마스크
※흡수제=활성탄
※시험가스의종류=시클로헥산,디메틸에테르,이소부탄
● 인쇄용롤러의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위험요인=전방체
※전원을차단하지않은상태에서 청소하여 손이말려들어감
※방호장치미설치로 인해 손이말려들어감
※체중을실어 닦고있어 손이말려들어감
※안전대책=전인똑회
※전원을차단한후 청소한다
※인터록 등 방호장치를 설치한다
※똑바로서서 작업한다
※회전체에 장갑을 착용하지않는다
● 컨베이어벨트작업시 안전조치사항=작장비야
※작업시작전 전원을차단
※장갑을벗고 작업
※비상정지장치 설치
※야간에 점검하지않는다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의 수리 또는 부속장치의 장착 및 해체작업시작전 조치사항=작하안작
※작업계획서 작성 및 계획대로 진행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기능의 이상유무확인
※안전지지대 또는 안전블록 등을 이용해 받쳐준다
※작업지휘자를지정하여 작업순서를 결정한후 작업한다
● 작업발판
※작업발판의 폭의 기준= 40cm이상
※발판 틈새의 기준= 3cm이하
● 작업자가 옷을 벗는 도중 폭발사고가 발생하는 장면
※폭발의종류=증기운폭발(UVCE)
※정의=대기중 확산되어있는 증기운의 어떤 점화원에 의해 급격히 폭발하는 현상
● 화물의 떨어짐,넘어짐 위험을 방지하기위한 사전점검 또는 조치사항=작와훅유
※작업반경내 관계근로자외출입금지
※와이어로프의 안전상태의점검
※훅의 해지장치 점검
※유도로프를사용
● 스팀배관
※재해발생형태=이상온도노출,접촉에의한화상
※사고원인=보안경미착용,배관내잔압을제거하지않고점검
● 한 작업자가 버스 정비를 위해 샤프트 계통 점검 도중 말려들어가는 사고
※위험점=회전말림점
※재해원인
※"정비중"임을 나타내는 표지판 미설치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자 미배치
※기동장치에 잠금장치를 안하고 열쇠를 별도로관리안함
※안전조치사항
※"정비중"임을 나타내는 표지판 설치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자 배치
※기동장치에 잠금장치를 하고 열쇠를 별도로관리
● 작업자가 일반적인 덴탈 마스크를 착용하고있는 장면
※작업자가 직업성질환 발생우려가있는경우=방진마스크를착용하지않으므로,석면분진이 마스크를 통해 흡일될수있다
※발생직업병종류=폐암,석면폐증,악성중피종
● 피부자극성 및 부식성 관리대상 유해물질 취급시 비치하여야 할 보호구=보방불불불
※보안경※방독마스크※불침투성보호장갑※불침투성보호장화※불침투성보호복
● 영상표시단말기 작업의 사무실에서 의자에 앉아 컴퓨터로 문서작업을 하는 장면
※개선사항=허모키
※허리를 등받이 깊숙히 지지하여 앉는다
※모니터를 보기편한위치에 놓는다
※위험요인=반장장
※반복작업에의한 어깨 및 손목통증
※장시간 앉아있는 작업자세에의한 요통위험
※장시간 화면집중에 의한 시력저하위험
※얻을수있는 직업병=어손요시
※어깨결림※손목통증※요통※시력저하
● 작업자가 김치제조 공장에서 무채를 썰어내는 슬라이스기계 장면
※위험점=절단점
※(1)의정의=회전하는운동부분자체의 위험에서 초래되는 위험점
※위험요인=전원을차단하지않고 점검하여위험,인터록 등 방호장치미설치로인한위험
※방호장치=인덮울
※인터록※덮개※울
● 마그네틱 크레인 발생한 사고의 위험요인=안유작신
※안전모미착용
※유도로프미사용
※작동스위치의 전선이 벗겨져 감전위험
※신호수 미배치
● 작업자가 배전반작업 하던 도중 잔류전하에 의한 감전사고 재해예방조치=정절관
※정전작업실시
※절연보호구착용
※관리감독자는 작업에대한 안전교육시행
● 한 작업자가 포대를 컨베이어 벨트에 얼리는 작업을 하는 장면
※재해요인=덮작
※덮개 또는 울 미설치로 인해 발생한재해
※작업자가 위험구역내에 위치하여 발생한재해
● 작업자가 인화성물질이 주위에 산재되어있는 장소에서 배관 교류아크용접작업을 하고있는장면
※작업자 측면의 위험요인=양손동시사용으로 작업자세 불안정
※작업장 측면의 위험요인=주변에 인화성물질이 산재되어 화재위험존재
※유해광선의종류=자외선
● 작업자가 신고있는 고무제안전화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면
※사용되는작업장의종류=일반작업장,탄화수소류의 윤활유 등을 취급한는작업장
※사용장소에 따른 고무제안전화의분류=일내
※일반용,내유용
● 화약장전 시 (1)의 위험요인과 (2)의 준수사항
※위험요인=강봉으로 화약장전 시 충격,마찰 등에 의하여 폭발의위험존재
※준수사항=구정된장전봉으로 장전실시=여사중시
※여과효율이좋을것
※사용적이적을것
※중량이가벼울것
※시야가넓을것
● 휴대용 연삭기
※방호장치=덮개
※노출각도=180도 이내
※설치각도=180도 이상
● 화물자동차 및 지게차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제하바전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바퀴의 이상 유무
※전조등,후미등,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컨베이어벨트 끝부분에 발을짚고 올라서서 형광등을 교차하다 작업장의 불안전한행동
※작업전 컨베이어 전원미차단
※작업하는자세의 불안정
※안전모 등 보호구 미착용
● 작업자가 강재 파이프에 스프레이건으로 페인트칠을 하는 작업하는 장면
※영상에서 사용된 마스크=방독마스크
※흡수재=활소큐
※활성탄※소다라임※큐프라마이트
●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했으나 체결하지 않고 전주에 올라서서 흔들리는 작업발판 장면의 위험요인
※안전대연결하지않음
※딛고선발판이불안
● 이동식크레인 운전 시 어떠한 안전작업방법을 준수하지않아 발생한 사례인지
※신호방법을 미리 정하지않음
※슬링와이어의 체결상태를 확인하지않음
※유도로프미설치
● 작업자가 선반에 사포를 갈아 손으로 지지하고있다가 작업복이 말려 들어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위험점과 정의
※위험점=회전말림점
※정의=회전하는물체에 작업복 등이 말려드는 위험점
● 하역작업시 전후 안정도=4%이내
● 하역작업시 좌우 안정도=6%이내
● 하역작업시 좌우 안정도(단,5ton이상)=3.5%이내
● 주행시 전후 안정도=18%이내
● 주행시 좌우 안정도=15+1.1V=15+1.1x5=20.5%이내
● 작업자가 폭발성화학물질 실험실 안에 들어가기전 신발에 물을 묻히고 들어가서 작업하는 장면
※신발에물을묻히는이유= 바닥면과 신발의 접촉으로 인한 정전기에의한 폭발발생을 방지하기위해
※화재시 적합한 소화방법=다량의 주수에 의한 냉각소화
● 브레이크 라이닝 세착작업시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보방불불불
※보안경※방독마스크※불침투성보호보호복※불침투성장갑※불침투성장화
● 방독마스크의 안전인증표시 외 추가 표시사항=파정사사
※파과곡선도※정화통의 외부측면의표시색※사용시간 기록카드※사용상의 주의사항
● 화면에서는 안전대를 확대하여 보여준다
※안전대의명칭 = 벨트식
※각 부의 명칭 = 작은것:카라비너 큰것:훅
※벨트의구조=강인한실로 짠 작물로비틀어짐,흠,기타결함이없을것
※치수기준=벨트의너비는 50mm이상,길이는 1100mm 이상, 두께는2mm이상일것
※가랑이가내을 인장시험기=15kN
● 두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하여 전주에서 작업하는것을 보여주고있다
※종류=벨트식
※용도=U자걸이전용
감전의정의=외부에서 인가된전원에의해 인체안으로 전류가통과되는것
목재가공용 둥근톱작업에서 불안전한행동 및 안전대책
불안전한행동
장갑착용
보안경미착용
방진마스크미착용
안전대책
장갑착용금지
보안경착용
방진마스크착용
작업자가 자동차 부품 도금공정 중 세척하는 장면
위험예지훈련
작업중의 흡연을금하자
세척작업시 불침투성보호장갑,보호장화를 착용하자
예상되는재해유형=폭발,화재
분리식 방진마스크=99.95%,94%,80%이상
방음용보호구(귀마개)
종류=1종=EP-1=저음부터고음까지차음하는것
종류=2종=EP-2=고음만을차음하는것
프레스에 설치하여 사용할수있는 유효 방호장치=양게수손
양수기동식
게이트가드식
수인식
손쳐내기식
이동식크레인
방호장치=권과제비
권과방지장치,과부하방지장치,제동장치,비상정지장치
3년,2년,6개월
고압전선로 옆 항타기.항발기작업
사고원인=절울이감
절연방호구 미설치
울타리 미설치
이격거리 미확보
감시인 미배치
안전대책=절울이감
절연방호구 설치
울타리 설치
이격거리 확보
감시인 배치
전동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
재해유형=감전
재해원인
정전작업미실시
절연보호구미착용
승강기 컨트롤 패널작업
재해형태=감전
가해물=MCC패널에가까우면 MCC패널, MCC패널과멀어지면 전류
재해형태원인=잔류전하에의한감전
감전방지대책
절연용보호구착용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인 배치
작업자들에게 작업에 대한 안전교육실시
LPG저장소에서 대기 중에 LPG가 유출되어 폭발사고
재해형태=폭발
기인물=LPG
유해화학물질의 흡수되는 경로와 특별관리물질 게시사항
흡수되는경로=호소피(호흡기,소화기,피부)
게시사항=발생생
발암성물질
생식세포 변이원성물질
생식독성물질
터널 굴착공사 중에 사용되는 계측방법의 종류=내지천록
내공변위 측정
지중변위 측정
천단침하 측정
록볼트축력 측정
탁상용 연삭기 작업
기인물=탁상용연삭기
방호장치=칩비산방지판
가공면과의 각도의 적절한 범위=15~30도
프레스작업에서 사고를 방지하기위한 조치사항=작프이게
작업전 전원차단한후 이물질제거
프레스를 일시정지할때 페달에 U자형덮개를 씌움
이물질제거시 수공구사용
게이트가드식 안전장치 등 설치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설치장소 및 설치대상
설치장소=물대임철
물 등 도전성이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장소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
철판,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
설치대상=물대임철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에서 사용하는 저압용 전기기계기구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철판,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유기화합물 드럼통 작업자의 눈.손.신체
눈=보안경
손=불침투성보호장갑
신체=불침투성보호복
지게차에 주유를 하면서 시동을 건채 흡연을 하며 이야기를 나눈다
위험요소
지게차에 시동이걸려있어 오동작에인한사고 발생위험
주유중 담배를 피워 화재발생위험
위험의원인과 결과
인화성물질이있는장소에서 흡연을하여 화재 및 폭발위험에 노출되어 화재가 발생할수있다
발화원형태의명칭=나화
항타기 도르래는 권상장치 드럼
=15배,중심,수직면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작업발판의 설치기준=발작추
발판재료는 작업시 하중을견딜수있도록 견고한것으로 설치할것
작업발판의 지지물은 하중에의하여 파괴될 우려가없는것을 사용
추락의위험이있는경우 안전난간 설치
방진마스크의 일반적인 구조조건=착전안
착용시 압박감이나 고통을주지않을것
전면형은 호흡시 투시부가 흐려지지않을것
안면부여과식마스크는 여과재를 안면에 밀착시킬수있을것
밀폐공간에서 작업 중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송공산
송기마스크,공기호흡기,산소호흡기
석면을취급하는작업 시 안전작업방법=습호국
습기유지
호흡용방호구착용
국소배기장치설치
항타기.항발기 조립 작업 시 점검사항=본권권버
본체연결부의 풀림 또는 손상의유무
권상기설치상태의 이상유무
권상장치의브레이크 및 쐐기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버팀의방법 및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
"작업중" 표지판 위험요인=붐절환
붐대의 활선접촉에 따른 감전위험
절연용보호구 미착용에 대한 감전위험
환선작업거리 미준수에 따른 감전위험
승강기 모터 벨트 부분
위험점=끼임점
재해형태=끼임
재해형태의정의=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안전화의 종류=가고정발절절
가죽제안전화
고무제안전화
정전기안전화
절연장화
절연화
지게차에 불안정하고 높게 적재된 화물에 의해 시야확보가 어려운 장면
재해발생원인=물작물
물건의 적재불량으로인한 운전자의 시야불충분
작업자가 지게차의 운행경로에나와작업함
물건을 불안정하게 적재하여 화물의낙하위험
운전자의조치=경하유
경적과경광등을 사용하여 주의
하차하여 주변의 안전을확인
유도자를 지정하여 지게차를 유도 또는 후진으로 서행
파란색 느낌표 보호구
명칭=안전블록
정의=안전그네와 연결하여 추락발생시 추락을 억제할수있는 자동잠김장치가 갖추어져있고 죔줄이 자동적으로 수축되는장치
구조
자동잠김장치를갖출것
부품은 부식방지처리를할것
구조조건
안전블록은 정격사용길이가 명시될것
안전블록의 줄은 합성섬유로프,웨빙,와이어로프이어야하며,와이어로프인경우 최소 공칭지름이 4mm 이상인것
아파트 난간에서 창틀에서 창호설치 작업
위험요인=추안안
추락방호망 미설치
안전난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가해물=바닥
크레인을 이용한 전주 세우기 작업
직접원인=활선전로와접촉
동종재해방지를 위한 안전대책=절울접이
절연방호구설치
울타리설치 및 감시인배치
접지점관리
이격거리확보
고압선 주변에서 작업 시 안전수칙=절울접이
절연방호구 설치
울타리설치 및 감시인배치
접지점관리
이격거리확보
원심기 점검의 재해유발요인=기덮보회
기계의전원을 차단하지않고 점검
덮개미설치
보안경미착용
회전기계에 목장갑착용
회전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위험요인=작비
작업시 장갑을 착용하고있어서
비상정지장치.덮개 등 방호장치 미설치
안전대책=회비
회전기계에 장갑을 착용하지않는다
비상정지장치.덮개 등 방호장치 설치한다
전주에 올라가다 표지판에 부딪혀 추락하는재해의 재해원인=머안
머리위의 시야확보 미흡
안전대 미착용
전주 설치 시 사고예방 관리적대책=작작개
작업내용에 대한 위험성주의 및 교육
작업지휘자에 의한 작업지휘 또는 감시인배치
개인보호구착용 및 취급사항 교육.감독
톱날에 장갑이 걸려 들어가는 사고의 사고위험요인=장자자
장갑을 착용하여 손이톱날에끼일 위험
자재를꺼낼때 전원을차단하지않아 위험
자재를꺼낼때 수공구를사용하지않아 위험
황산(H2SO4)으로 유리용기를 세척하는 사고
재해형태=유해위험물질 노출,접촉
재해형태의정의=유해위험물질 노출,접촉 또는 흡입하였거나 독성동물에 쏘이거나 물린 경우
원인=안전장갑을 사용하지않고 황산취급
승강기 개구부에서 작업하고있는 안전수칙=낙물작
낙하물방지망 설치
물건인양시 도르래 등의 기구사용
작업자는 안전모 등 보호구착용
가죽제안전화의 성능시험=내답압충부유리
내답발성
내압박성
내충격성
내부식성
내유성
박리저항
밀폐장소 작업에서 그라인더 작업하고있다
위험요인=국환근
국소배기장치 전원차단
환기미실시
근로자 송기마스크 미착용
관리감독자의직무=작환근
작업을하는장소의 산소여부의 적절성을 작업시작전에 점검
환기장치,측정장비 등 작업시작전에 점검
근로자에게 송기마스크 등의 착용을 지도하고 착용상황을 점검
산소결핍장소(밀폐장소)에서 안전수칙=작근관
작업시작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측정
근로자를 입장시키거나 퇴장시킬때 인원점검
관계자외출입금지 및 출입금지표지판을 보기쉬운곳에 설치
화면에서 클로즈업 해주어,로프가 반쯤 잘리고,보조로프가 설치되지않은것을 보여주였다
재해원인=위로유
위험반경내 신호작업
로프상태불량
유도로프미설치
발판 위에서 벽면에 돌출되어있는 못을 망치로 제거하는 작업
재해요인=추안안
추락방호망미설치
안전난간미설치
안전대미착용
안전대책=추안안
추락방호망설치
안전난간설치
안전대착용
유기화합물통에 넣었다 빼서 작업자 앞에 있는 선반에 올리는 작업에 착용해야할 보호구=보불불불
보안경
불침투성 안전화
불침투성 보호복
불침투성 안전장갑
작업자가 전원이 꺼지지않은 카렌더기를 청소하던 도중 감전사고=절정
절연보호구 미착용
정전작업 미실시
양수기를 수리하는 작업의 위험요인=운회작
운전중 수리작업
회전기계작업중 장갑착용
작업자가 작업에 집중하지않음
리프트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방와
방호장치,브레이크 및 클러치의 기능
와이어로프가 통하고있는곳의 상태
작업자가 작업발판용 나무토막을 가공대 위에 올려놓은 작업
재해형태=넘어짐
기인물=작업발판
가해물=바닥
H라고 쓰여진 녹색인 정화통 방독마스크
종류=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형식=격리식전면형
시험가스종류=암모니아가스
정화통흡수제=큐프라마이트
누설률=0.05%이하
파과시간=40분이상
해체작업의 해체계획서 작성 시 포함사항=사해해해해
사업장 내 연락방법
해체물의 처분계획
해체작업용 기계기구등의 작업계획서
해체작업용 화약류등의 사용계획서
해체방법 및 해체순서도면
아크용접 슬러지를 털어낸 뒤 아크불꽃을 내는 순간 감전되어 쓰러진 작업
기인물=교류아크용접기
착용할보호구=용접용보안면,절연장갑
특수화학설비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장치=온유압자
온도계,유량계,압력계,자동경보장치
C라고 쓰여진 갈색인 정화통을 끼운 방독마스크
종류=유기화합물용 방독마스크
흡수제=활성탄
시험가스의종류=시디이
시클로헥산,디메틸에테르,이소부탄
인쇄용 롤러
위험요인=전방체
전원을차단하지않은상태에서 청소하여 손이말려들어감
방호장치미설치로 인해 손이말려들어감
체중을실어 닦고있어 손이말려들어감
안전대책=전똑회
전원을차단한후 청소한다
똑바로서서 작업한다
회전체에 장갑착용금지
컨베이어 벨트 작업 시 안전조치사항=비야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한다
야간에 점검하지않는다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의 수리 또는 부속장치의 장착 및 해체작업을 할때 작업시작전 조치사항=작하안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계획대로 진행한다.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유무확인
안전지지대 또는 안전블록 등을 이용해 받쳐준다
작업발판
작업발판의폭의기준= 40CM이상
발판틈새의기준= 3CM이하
저장소에서 작업자가 못을 벗는 도중 폭발사고 발생
폭발의종류=증기운폭발(UVCE)
정의=대기중 확산되어있는 증기운이 어떤 점화원에 의해 급격히 폭발하는현상
화물의 떨어짐.넘어짐 위험을 방지하기위한 사전점검 또는 조치사항=와훅유
와이어로프의 안전상태 점검
훅의해지장치 점검
유도로프 사용
스팀배관 누출부위를 점검하는 도중 눈에 화상 당한 장면
재해발생형태=이상온도 노출.접촉에 의한 화상
사고원인=보배
보안경미착용
배관내 잔압을 제거하지않고 점검
작업자가 버스 정비를 위해 샤프트 계통 점검
위험점=회전말림점
재해원인=정작기
"정비중"임을 나타내는 표지판 미설치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자 미배치
기동장치에 잠금장치를 하지않고 열쇠를 별도관리하지않음
사전안전조치사항=정작기
"정비중"임을 나타내는 표지판 설치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자 배치
기동장치에 잠금장치를 하고 열쇠를 별도 관리
일반적인 덴탈마스크를 착용하고있으나 직업성질환 발생 우려가 있다.
직업성질환 발생 우려가있는 경우=방진마스크를 착요하지않았으므로 석면분진이 마스크를 통해 흡입될수있다
발생직업병 종류=폐석악
폐암
석면폐증
악성중피종
피부자극성 및 부식성 관리대상유해물질 비치하여야 할 보호구=보방불불불
보안경
방독마스크
불침투성 보호복
불침투성 보호장갑
불침투성 보호장화
영상표시단말기의 작업자가 사무실에서 컴퓨터로 문서작업중인 장면
개선사항=허모키
허리를 등받이 깊숙히 지지하여 앉는다
모니터를 보기편한위치에 놓는다
키보드를 조작하기편한 위치에 놓는다
위험요인=반장장
반복작업에의한 어깨 및 손목통증
장시간 앉아있는 작업자세에의한 요통위험
장시간 화면집중에 의한 시력저하위험
얻을수있는직업병=어손요시
어깨결림
손목통증
요통
시력저하
김치제조공장에서 무채를 썰어내는 슬라이스기계
위험점=절단점
(1)의정의=회전하는 운동부분자체의 위험에서 초래되는 위험점
위험요인=전인
전원을 차단하지않고 점검하여 위험
인터록 등 방호장치 미설치로 인한 위험
방호장치=인덮울
인터록,덮개,울
마크네틱 크레인을 사용하다가 발생한 사고의 위험요인=안유신
안전모미착용
유도로프미사용
신호수를 배치하지않음
잔류전하에 의한 감전사고 재해예방조치=정절관
정전작업 실시
절연보호구 착용
관리감독자는 작업에대한 안전교육시행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설치장소 및 설치대상
설치장소=물대임철
물 등 도전성이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장소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
철판,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
설치대상=물대임철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에서 사용하는 저압용 전기기계기구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철판,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석면분진폭로 직업성질환될 우려가 있는 이유
=해당 작업자가 착용한 마스크는 방진전용마스크가 아니기때문에 석면분진이 마스크를통해 흡입될수있다
직업병이 발생할 위험=폐석악
폐암,석면폐증,악성중피종
승강기리프트 작업시작전 점검사항=방와
방호장치,브레이크 및 클리치의기능
와이어로프가 통하고있는곳의 상태
리프트의 방호장치=권과조비
권과방지장치,과부하방지장치,조작반에잠금장치설치,비상정지장치
크레인(이동식크레인,곤돌라,승강기)의 방호장치=권과제비
권과방지장치,과부하방지장치,제동장치,비상정지장치
안전검사주기=3년.2년.6개월
저장탱크 내부에서 슬러지 청소하는 장면 탱크 내부에서 30분 이상 실시할 경우 보호구=송공
송기마스크,공기호흡기
감전사고의 안전대책=정이작정
정격누전차단기를설치할것
이동전선 절연조치를할것
작업근로자 감전에 대비한 보호구착용
정전작업실시
펴지작업의종류=진압스사
진공퍼지,압력퍼지,스위프퍼지,사이펀퍼지
항타기 권상장치의 드럼폭=15배,중심,수직면
인화성물질의취급 및 가스폭발
종류=증기운폭발
설명=액체상태로 저장되어있던 인화성물질이 인화성가스로 공기중에 누출되어있다가 정전기와같은 점화원에 접촉하여 폭발하는 현상
해체작업의 해체계획서 작성 시 포함사항=사해해해해
사업장내연락방법
해체물의처분계획
해체작업용기계기구등의작업계획서
해체작업용화약류등의사용계획서
해체방법 및 해체순서도면
LPG 저장소에 가스누설감지경보기 미설치로 인해 감지경보기의 적절한 설치위치 경보설정값
설치위치=LPG는 공기보다무거우므로 바닥에 인접한 낮은곳에 설치
설정값=폭발하한계의 25% 이하
작업자가 신발에 물을 묻히는 이유
이유=폭발성이높은 화학약품을 취급할때 정전기에의한 폭발위험성이있으므로 작업화와 바닥면의 접촉으로 인한 정전기발생을 줄이기위해
소화방법=다량 주수에 의한 냉각소화
-철골구조물 작업시 중지해야 하는 기상상화
풍속이 초당 10M 이상인 경우
강우량이 시간당 1MM 이상인 경우
강설량이 시간당 1CM 이상인 경우
-타워크레인 운전작업 중지해야하는 풍속조건
설치/수리/점검 또는 해체작업 중지=10M 초과
운전작업중지=15M 초과
옥외양중기=30M 초과
왹외주행크레인=30M 초과
리프트/승강기=35M 초과
-스팀배관 재해발생형태
=스팀누출에 의한 이상온도노출,접촉에의한 화상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발판의 설치기준=발작작추
발판재료는 작업시 하중을견딜수있도록 견고한것으로설치
작업발판의지지물은 하중에 의하여 파괴될우려가없는것을 사용
작업발판을 작업에따라 이동시킬때는 위험방지에 필요한 조치를할것
추락의위험이있는경우에는 안전난간 설치
-컨베이어=원이비원
원동기 및 풀리 기능의 이상 유무
이탈 등의 방호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원동기,회전축,기어 및 풀리 등의 덮개 또는 울등의 이상 유무
-버스정비를 위해 샤프트 계통점검=회전말림점/정작기
-재해원인
정비중임을 나타내는 표지판 미설치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자 미배치
기동장치에 잠금장치 미설치 및 열쇠를 별도로 관리하지않음
-조치사항
정비중임을 나타내는 표지판 설치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자 배치
기동장치에 잠금장치 설치 및 열쇠를 별도로 관리
-하역작업시 전후안정도=4% 이내
-하역작업시 좌우안정도=6% 이내
-하역작업시 좌우안정도(5ton이상)=3.5% 이내
-주행시 전후안정도=18% 이내
-주행시 좌우안정도=15+1.1V=15+1.1x5=20.5% 이내
-승강기 컨트롤 패널작업
재해형태=감전
가해물=접촉하면 MCC패널 / 거리가멀면 전류
재해형태원인=잔류전하에 의한 감전
감전방지대책=절작작
절연용보호구 착용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인 배치
작업자들에게 작업에 대한 안전교육실시
-안전모의 안전인증 기준
질량=440g
안전모의기호=AE형
내전압성=7000V
-영상표시단말기 작업 사무실에 의자에 앉아 컴퓨터로 문서작업 화면
-개선사항=허모키
허리를 등받이깊숙이 지지하여앉는다
모니터를 보기편한위치에 놓는다
키보드를 조작하기편한위치에 놓는다
-위험요인=반장장
반복작업에의한 어깨 및 손목통증
장시간 앉아있는 작업자
직업병=어손요시
어깨결림,손목통증,요통,시력저하
-고무제안전화
사용되는 작업장의종류=일탄
일반작업장
탄화수소류의 윤활유 등을 취급하는 작업장
고무제안전화의종류=일내
일반용,내유용
-화약장전 시 위험요인과 준수사항
위험요인=강봉으로 화약장전시 충격,마찰 등에 의한 폭발의위험존재
준수사항=규정된장전봉으로 장전을 실시
방진마스크의 구비조건=여사중시
여과효율이좋을것
사용적이적을것
중량이가벼울것
시야가넓을것
-휴대용연삭기
방호장치=덮개
노출각도=180도이내
설치각도=180도이상
화물자동차 및 지게차 작업시작전 점검사항=제하바전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바퀴의 이상 유무
전조등,후미등,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컨베이어벨트 끝부분에 발을 짚고 형광등을 교체하다 추락한 장면
불안전한행동=작안
작업하는자세 불안정
안전모 등 보호구미착용
-강재 파이프에 스프레이건으로 패인트칠하는 장면
영상에서사용된마스크=방독마스크
흡수제=활소큐
활성탄,소다라임,큐프라마이트
-이동식크레인 운전 시 어떠한 안전작업방법을 준수하지않아 발생한 사례인지=유무슬
유도로프사용하지않음
무전기를사용하여 신호할때 미리 신호방법을 정하지않음
슬링와이어의 체결상태를 확인하지않음
-사포를 갈아 작업복이 말려 들어가는 사고
위험점=회전말림점
정의=회전하는 물체에 작업복 등이 말려드는 위험점
4%이내
6%이내
3.5%이내
18%이내
15+1.1V=15+1.1x5=20.5% 이내
-실험실안에 들어가기전 신발에 물을 묻히고 들어가서 작업한다
신발에물을묻히는이유=바닥면과신발의접촉으로 인한 정전기에 의한 폭발발생을 방지하기위해
화재시 적합한 소화방법=다량의주수에 의한 냉각소화
-브레이크 라이닝 세척작업 보호구=보방불불불
보안경,방독마스크,불침투성보호복,불침투성보호장갑,불침투성보호장화
-방독마스크의 안전인증표시 외 추가 표시사항=파정사사
파과곡선도
정화통의 외부측면의표시색
사용시간기록카드
사용상의주의사항
-안전대의명칭=벨트식
각부의명칭=1번:카라비너 2번:훅
벨트의구조와 치수기준
구조기준=강인한실로 짠 작물로 비툴어짐,흠,기타결함이없을것
치수기준=벨트의너비 50mm이상,길이 1100mm 이상,두께 2mm 이상
작업자들이 착용하고있는 안전대의 종류 및 용도
종류=벨트식
용도=U자걸이전용
밀페작업 중 퍼지작업의종류=진압스사
진공퍼지,압력퍼지,스위프퍼지,사이펀퍼지
LPG저장소에는 가스누설감지경보기가 설치되지않은 장면
적절한설치위치=바닥근처 낮은 곳에 설치
경보설정값=폭발하한계의25%이하
-선박밸러스트 탱크 내부 작업에서 필요한 비상시 피난용구=송공사섬
송기마스크,공기호흡기,사다리,섬유로프
-맞음=날아오거나떨어진물체에 맞음
-유해물질 취급 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유실점환
유해물질발생원인 차단
실내환기
점화원제거
환경의정돈 및 청소
-드릴작업
위험요인=보수
보안경을 착용하지않고 입으로불어 칩을 제거함으로 이물질이 눈에 들어갈 위험
수공구를 사용하지않고 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칩을 제거함으로 손이 다칠 위험
밀폐공간에서 국소배기장치 콘센트에 발이 걸려 환기장치가 꺼지고 다른 밀폐작업자 쓰러지는 장면
핵심위험요소=송감
송기마스크,공기호흡기 등 보호구미착용
감시인 미배치
타워크레인운전과 관련한 안전작업방법 미준수사항=신유혹
신호수 미배치
유도로프 미사용
혹의 해지장치 미설치
중량물 인양 작업 시 준수하여야 할 안전수칙=개관중
개인보호구지급 및 작업자착용철저
관계근로자외출입금지 설치
중량물작업시 올바른 작업방법 준수철저
가죽제안전화의 뒷굽높이를 제외한 몸통 높이에 따라 3가지로 구분=단중장
단화=113mm 미만
중단화=113mm 이상
장화=178mm 이상
이동식크레인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권브와
권과방지장치 및 그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브레이크,클러치 및 조종장치의 기능
와이어로프가 통하고있는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
물림점=2개의 회전체에 물려 들어가는 위험점
물림점의 발생조건=회전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맞물려 회전할것
A라고 쓰여진 회색인 정화통
종류= 할로겐용 방독마스크
형식=격리식전면형
시험가스종류=염소가스
정화통흡수제=활성탄,소다라임
다이너마이트설치=터록부
박공지붕작업=추안안
감전의 정의=외부에서 인가된전원에의해 인체안으로 전류가 통과하는것
단무지공장=누수절,누수전,누전차단기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불장보방,장보방
불안전한행동,장갑착용,보안경미착용,방진마스크미착용
장갑미착용,보안경착용,방진마스크착용
자동차 부품 도금공정=작세,폭화
작업중흡연을금하자,세척작업시 불침투성보호장갑,장화를 착용하자
폭발,화재
분리식 방진 마스크=99.95%이상,94%이상,80%이상
방음용 보호구(귀마개)
=1종=EP-1=저음부터 고음까지 차음하는것
=2종=EP-2=고음만을차음하는것
프레스의 유효 방지장치=양게수손
양수가동식,게이트가드식,수인식,손쳐내기식
이동식크레인의방호장치=권과제비,3년2년6개월
권과방지장치,과부하방지장치,제동장치,비상정지장치
고압전선로 옆 항타기.항발기작업=절울이감
절연용방호구미설치,울타리미설치,이격거리미확보,감시인미배치
전동 권선기에 동선을 감는 작업=감전,정절
정전작업미실시,절연보호구미착용
승강기 컨트롤 패널 작업=감전,잔류전하에의한감전,절작작
절연보호구착용,
작업지휘자또는감시인배치
작업자들에게 작업에대한 안전교욱실시
유해화학물질이 흡수되는 경로와 특별관리물질 게시사항=호소피/발생생
호흡기,소화기,피부/발암성물질,생식독성물질,생식세포변이원성물질
터널 굴착공사 중에 사용되는 계측방법의 종류=내지천록
내공변위측정,지중변위측정,천단침하측정,록볼트축력측정
탁상용연삭기작업=탁상용연삭기,칩비산방지판,15~30도
프레스작업에서 사고를 방지하기위한 조치사항=이게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설치장소 및 설치대상=물대임철
작업자의 눈,손,신체에 각각 필요한 보호구=보안경,불침투성보호장갑,불침투성보호복
권상장치 드럼=15배,중심,수직면
밀폐공간에서 착용할 보호구=송공산
송기마스크,공기호흡기,산소호흡기
석면을 취급하는 작업 시 안전작업방법=습호국
습기유지
호흡용보호구착용
국소배기장치설치
항타기.항발기 조립작업시 점검사항=본권버
본체연결부의 풀림 또는 손상의유무
권상기설치상태의 이상 유무
버팀의방법 및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
작업자 1명은 밑에서 1명은 사다리차위에서 활선작업=붐절활
붐대의 활선접촉에 따른 감전위험
절연용보호구비착용에 따른 감전위험
활선작업거리 미준수에 따른 감전위험
끼임=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안전화의종류=가고정발절절
지게차를 운전하던도중 시야확보가 어려워 작업자와 충돌=물작물,경하유
물건의적재불량으로인한 운전자의시야불충분
작업자가 지게차의 운행경로에나와작업함
물건을 불안정하게 적재하여 화물의낙하위험
경적과경광등을 사용하여 주의
하차하여 주변의 안전을 확인
유도자를 지정하여 지게차를 유도 또는 후진으로 서행
아파트 난간에서 창틀에서 창호설치 작업=추안안,바닥
추락방호망 미설치
안전난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크레인을 이용한 전주세우기작업=활선전로와접촉,절울이
절연방호구설치
울타리설치 또는 감시인배치
이격거리확보
고압선 주변에서 작업 시 안전수칙=절울이
절연방호구설치
울타리설치 또는 감시인배치
이격거리확보
원심기 점검의 재해유발요인=기덮보
기계의전원을차단하지않고점검
덮개미설치
보안경미착용
회전하는 브레이크 라이닝=작비,회비
회전기계에 장갑착용
비상정지장치,덮개 등 방호장치 미설치
회전기계에 장갑 미착용
비상정지장치,덮개 등 방호장치 미설치
작업자가 전주에 올라가다 표지판에 부딪혀 추락발생 재해원인=머안
머리위의시야확보 미흡
안전대미착용
전주설치시 사고예방 관리적대책=작작개
작업내용에대한 위험성주의 및 교육
작업지휘자 및 감시인배치
개인보호구착용 및 취급사항 교육감독
띠톱작업 중 톱날에 장갑이 결러 들어가는 사고의 위험요인=장자자
장갑을착용하여 손이 톱날에 끼일 위험
자재를 꺼낼때 전원을차단하지않아 위험
자재를 꺼낼때 수공구를 사용하지않아 위험
연구실에서 황산이 손에 묻어 사고발생
=유해위험물질의 노출,접촉
=또는 흡입하였거나 독성동물에 쏘이거나물린경우
=안전장갑을 사용하지않고 황산취급
작업자 2명이 승강기 개구부에서 작업=낙물작
낙하물방지망 설치
물건인양시 도르래등 기구사용
작업자는 안전모등 보호구착용
가죽제 안전화의 성능시험=내답압충부유리
내답발성,내압박성,내충격성,내부식성,내유성,박리저항
밀폐된공간에서 그라인더 작업=국환근,작환근
국소배기장치 전원차단
환기미실시
근로자 송기마스크미착용
작업을하는장소의 산소여부의 적절성을 작업시작전에 점검
환기장치,측정장비 등 작업시작전 점검
근로자에게 송기마스크 등의 착용을 지도하고 착용상황을 점검
산소결핍장소(밀폐장소)에서 안전수칙=작근관
작업시작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측정
근로자를 입장시키거나 퇴장시킬때 인원점검
관계자외출입금지 및 출입금지 표지판을 보기쉬운곳에 설치
크레인작업 중 로프가 반쯤잘리고,보조로프가 설치되지않은장면=위로유
위험반경내 신호작업
로프상태불량
유도로프미설치
발판 위에서 벽면에 돌출되어있는 못을 망치로 제거하는 작업=추안안,추안안
추락방호망미설치
안전난간미설치
안전대미착용
추락방호망설치
안전난간설치
안전대착용
작업복만 입은 작업자 앞에 있는 선반에 올리는 작업=보불불불
보안경,불침투성보호복,불침투성안전장갑,불침투성안전화
카렌더기 청소하던도중 감전사고의 재해원인=절정
절연보호구미착용
정전작업미실시
양수기를 수리하면서 서로 잡담을 하며 수공구를 주고받는 장면=운회작
운전중 수리작업
회전기계작업중 장갑착용
작업자가 작업에 집중하지않음
리프트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방와
방호장치,브레이크 및 클러치의기능
와이어로프가 통하고있는곳의 상태
작업자가 작업발판용 나무토막을 가공대 위에 올리고 작업발판 흔들림에 의하여 바닥에 넘어지는 사고발생=넘어짐,작업발판,바닥
작업자가 H라고 쓰여진 녹색인 정화통을 끼운 방독마스크 착용
=암모니아용 방독마스크
=격리식전면형
=암모니아가스
=정화통흡수제=큐프라마이트
=누설률=0.05%이하
=파과시간=40분이상
해체작업의 해체계획서 작성 시 포함사항=사해해해해
사업장 내 신호방법
해체물의 처분계획
해체작업용 기계기구등의 작업계획서
해체작업용 화약류등의 사용계획서
해체방법 및 해체순서도면
아크용접작업 슬러지를 털어낸 뒤 육안으로 확인 감전
=교류아크용접기,용접용보안면,절연장갑
특수화학설비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위하여 설치해야할 장치=온유압자
온도계,유량계,압력계,자동경보장치
C라고 쓰여진 갈색인 정화통
=유기화합물용 방독마스크
=활성탄
=(시디이)시클로헥산,디메틸에테르,이소부탄
인쇄용롤러=전방체,전회똑
전원을차단하지않고 청소하여 손이말려들어감
방호장치미설치로 인해 손이말려들어감
체중을실어 닦고있어 손이말려들어감
전원차단 후 청소
회전체에 장갑 미착용
똑바로서서작업
컨베이어 벨트작업 시 안전조치사항=비야
비상정지장치 설치
야간에 점검하지않는다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의 수리 또는 부속장치의 장착 및 해체작업 조치사항=작하안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계획대로 진행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확인
안전지지대 또는 안전블록 등을 이용해 받쳐준다
작업발판의 폭의 기준= 40cm 이상
발판 틈새의 기준= 3cm 이하
작업자가 옷을 벗는 도중 폭발사고발생
=증기운폭발(UVCE)
=대기중 확산되어있는 증기운이 어떤 점화원에의해 급격히 폭발하는 현상
화물의 떨어짐.넘어짐 위험을 방지하기위한 사전점검 또는 조치사항=작와훅유
작업반경 내 관계근로자 외 출입금지
와이어로프의 안전상태 점검
훅의 해치장치 점검
유도로프 사용
스팀배관 눈에 스팀압력에 의한 재해 및 화상
=이상온도 노출,접촉에의한화상
=보배
보안경미착용
배관내 잔압을 제거하지않고 점검
작업자가 버스 정비를 위해 샤프트 계통점검
=회전말림점
=정작기,정작기
정비중임을 나타내는 표지판 미설치
작업지휘자 또는 감시인 미배치
기동장치에 잠금장치를 하지않고 열쇠를 별도로 관리하지않음
일반적인 덴탈마스크를 착용하고있으나 석면분진폭로 위험성에 노출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지않았으므로,석면분진이 마스크를 통해 흡입될수있다.
=폐석악
폐암,석면폐증,악성중피종
피부자극성 및 부식성 관리대상 유해물질 취급시 비치하여야 할 보호구=보방불불불
보안경,방독마스크,불침투성보호복,불침투성보호장갑,불침투성보호장화
영상표시단말기 작업 사무실에서 의자에 앉아 문서작업중
=허모키
허리를등받이 깊숙이 지지하여 앉는다
모니터를 보기편한 위치에놓는다
키보드를 조작하기편한 위치에놓는다
=반장장
반복작업에 의한 어깨 및 손목통증
장시간 앉아있는 작업자에의한 요통위험
장시간 화면집중에 의한 시력저하위험
=어손요시
어깨결림,손목통증,요통,시력저하위험
김치제조공장에서 무채를 썰어내는 슬라이스기계
=절단점
=회전하는 운동부분 자체의 위험에서 초래되는 위험점
=전인
전원을 차단하지않고 점검하여 위험
인터록 등 방호장치미설치로 인한 위험
=인덮울
인터록,덮개,울
마그네틱 크레인을 사용하다가 발생한 사고의 위험요인=안유신
안전모미착용
유도로프미사용
신호수미배치
잔류전하에 의한 감전사고 재해예방조치=정절관
정전작업 실시
절연보호구 착용
관리감독자는 작업에 대한 안전교육시행
컨베이어 벨트에 올리는 작업 무게중심을 잃고 쓰러지면서 오른쪽 팔이 기계 하단으로 들어가는 재해발생=덮작,기부
덮개 또는 울 미설치로 인해 발생한 재해
작업자가 위험구역내위치하여 발생한 재해
기계의전원차단
부상자에대한응급조치
양손으로 배관 교류아크용접작업=양주자
=양손동시사용으로 작업자세 불안정
=주변에 인화성물질이 산재되어 화재위험존재
=자외선
고무제 안전화를 확대하여 보여준다=일탄,일내
일반작업장
탄화수소류의 윤활유 등을 취급한느 작업장
일반용
내유용
'자격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필기 요점정리 (2) | 2023.12.05 |
---|---|
방재기사 필기 요점정리 (6) | 2023.12.05 |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요점정리 (32) | 2023.12.05 |
위험물산업기사 실기 자료 공유 (1) | 2023.10.06 |
산업안전기사 필답형 자료 공유 (1) | 2023.10.06 |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필기 공부법 (1) | 2023.09.09 |
소방안전관리자2급 시험 문제 요약본 List (1) | 2022.12.21 |
산업안전기사 필기 문제 요약본 List (1) | 2022.12.21 |